-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Kit’s Efficiency of Alpha Fetoprotein (AFP) Test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조현수(Hyun-su Cho) 노경운(Gyeong-woon Noh) 유태민(Tae-min You)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22 No.2, 101~104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Alpha fetoprotein(AFP) is a fetal serum protein that increases in germ cell tumors derived from liver cancer or egg yolk. AFP test has been used for screening of liver cancer, determination of tumor stage,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effect, and fetal congenital malform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four kits, identif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kit, and select the appropriate kits for our laboratory. Materials and Method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89 patients attendi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manufacturer's instructions of four companies(A, B, C, D). The precision, recovery, linearity, and sensitivity test were performed for each kit. Results In case of the precision within the measurement, the CV value of the C kit was less than 5% at the low, middle, and high concentrations. The A, B and D kit's the CV value was less than 5% at the concentrations except the low concentration. The recovery rates of the A, B, C, and D kits were 100 ± 15%, 100 ± 30%, 100 ± 16% and 100 ± 14%, respectively. All kits showed good linearity. Sensitivity was measured as 0.5 IU/mL for A, 0.4 IU/mL for B, 0.98 IU/mL for C, and 0.3 IU/mL for D. Conclusion The CV values of the four kits were within 10%,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lose to 1 for R² = 0.978, R² = 0.992 and R² = 0.8957. As a result, they are clinically available. Therefore, each laboratory should select the appropriate kit for their experiment's environment.
목차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lpha feto protein(AFP)검사 키트의 유효성 평가실험
- 핵의학 간담도 스캔 시, 전면상과 우측 측면상에서의 담낭박출률에 대한 비교 및 고찰
- Loop와 HPLC Purification 방법보다 더 높은 비방사능을 보여주는 카트리지 Methylation과 Purification을 이용한 손쉬운 [¹¹C]PIB 합성
- ¹⁸F-FDG 자동분주기 사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 Glomerular Filtration Rate 검사방법 및 가이드라인
- [¹¹C]아세트산의 방사화학적 수율 증가를 위한 연구
- 반도체 심근 전용 감마카메라를 이용한 Rest ⁹⁹ᵐTcsestaMIBI/Stress²⁰¹Tl 이중 동위원소 심근 관류 동시 스캔에 관한 임상적 고찰
- Article 자동화장비 계측효율 관리적 측정방법 제안
- 테크네슘 방사성의약품의 조제와 분배 과정에서 오염균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