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fference of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gion of Interest Setting in ⁹⁹ᵐTc-DMSA Renal Scan
- 발행기관
- 대한핵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이종훈(Jong Hun Lee) 심동오(Oh Shim Dong)
- 간행물 정보
- 『핵의학기술』Vol.14 No.1, 73~77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nuclear medicine technology has been changed. The hard ware is developed so much. Also the soft ware performs a meritorious deed for the development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We could use the automated region of interest (ROI) instead of manual ROI. We want to know that what difference of quantitative analysis is there between automated ROI and manual ROI Materials and Methods: There are three experimental to make results. The first is what comparing the renal automated ROI and manual ROI. The second is that we compared three threshold ROI that size is difference each others with visible decision. The third is that we compared full, half, quarter automated background, and survey relative function. Results: Although the first h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cond and third have significant difference. Threshold, setting smaller threshold then renal outline or bigger,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The third is performed with the first experimental. Full background has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each three type background (p<0.05). Conclusion: The results that there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utomated ROI and manual ROI will increase objectivity and operator’s convenience. We could know that smaller threshold then renal out lin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cond experimental. And the third experimental has results because of a increased background nearby live and spleen.
목차
서론
실험재료 및 방법
결과
결론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신 뼈 검사에서 Wide Beam Reconstruction 기법의 유용성
- 이중 에너지 엑스레이 흡수기의 가동 시간에 따른 골밀도 값의 평가
- Fusion &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3D 재구성 영상에서 Region Cut Subtraction의 유용성
- 통계적 분석을 통한 Insulin의 정상 참고치 설정
- ²⁰¹Tl을 이용한 레이노 검사에서 동적 Composite 영상의 유용성
- 반사성교감신경 이영양증후군 환자의 삼상 골 스캔 시 Half Body 혈액 풀 영상의 적용
- 산란보정 전, 후의 SPECT 대조도 및 분해능 평가
- PET/CT 검사에서 호흡에 따른 인공산물을 줄이기 위한 Average CT의 유용성
- FDG 사용 시 Dose Calibrator에 따른 SUV에 미치는 영향
- 핵의학과 Video Display Terminals Syndrome 유해요인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PET/CT 2D와 3D 영상 획득에서 방사능 집적에 따른 방사능 농도의 평가
- F-18-FPCIP 뇌 영상에서 True-X 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했을 때의 Iteration과 Subset의 영향
- 한국인 일반인의 혈청 25-Hydroxy Vitamin D₃의 분석
-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 병실의 최대치 산출
- 동적 영상 획득 방식을 이용한 정적 영상의 움직임 보정
- FDG 합성 후 질소가스를 이용한 튜빙의 잔류 ¹⁸F-FDG 최소화를 위한 방법의 유용성
- 전신 뼈 스캔 후 경과 시간 차이에 따른 ²⁰¹Tl 심근관류 SPECT 영상의 영향 평가
- 저칼슘혈증 예측지표로서 부갑상선 호르몬 검사반응시간에 따른 유용성
- ⁹⁹ᵐTc-DMSA 신장 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 PET/CT 3차원 영상 획득에서 부분용적효과 감소를 위한 재구성법의 최적화
- Breast Specific Gamma Imaging 장비의 성능평가
- Phytat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검사 시 Filter의 유용성 평가
- 감마영상과 실사영상의 Fusion
- 정적 영상에서 Noise Reduction Software의 이해와 적용
- 서울아산병원의 적혈구 표지 방법에서 교반 시간 차이에 따른 표지 효율의 분석
- ⁹⁹ᵐTc-DTPA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에서 주사 전 선량계수치의 평가
- 폐와 심근에서 전이성 석회화가 발견된 골 스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