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동성 김재철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통권 제1호(창간호), 79~1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구 소련의 몰락에 따른 미국 -소련간 대 결의 종식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도 질서재편의 필요성을 제기시켰다. 현재 진행되고있는 동북아 질서재편의 큰 특정중의 하 나는 초강대국의 영향력이 약화되어가는 반면 중국을 포함한 이른바 지역강국들 ( region al powers) 의 역할아 상대적으로 증대되었다는 점이다. 중국의 최근 군사정책이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 소련의 퇴장과 미국의 영향력 약화로 불가피해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의 질서재편 과정에서 중국의 군사정책의 방향은 전체 군사질서 형성의 진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최근 군사정책의 내용과 그것이 동북아시아 안보에 미치는 영 향을 고찰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특히 관심의 초점은 최근 우리나라 뿐아니라 많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우려의 대상이 되고있는 중국의 최근 동향들 - 국방예산 증대, 대외무기판매, 소련으로부터의 무기구입, 그리고 핵전력 증강노력 -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이지역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기위한 적극적 군사력 증강정책일 수 도 있지만 또한 통상적인 군사력 현대화 싸이클로 해석될 수 도 있다 . 그 어느 경우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중국의 군사행태에 대한 주변국가들의 기존인식이나 우려에 기반하기 보다는 중국의 군사정책 기본에 대한 객관적 판단에 근거해야 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이 있다 . 이글은 우선 냉전종식 이후 변화하고있는 동북아질서를 간략히 살펴 보, 중국의 최근 군사정책에 대한 검토로 넘어간다. 중국군사정책을 검토함에 있어서는 최근의 중국군사정책의 목표와 추세가 1980 년대에 꾸준히 유지되어온 그것들로부터 변화했는지를 살피 , 그에 근거하여 중국의 군사정책이 현재 그리고 미래의 동북아시아 안보에 끼칠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냉전의 종언과 동북아 질서의 재편
최근중국의 군사정책
동북아시아 안보에 미치는 영향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