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uman Exist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Implications of Gabriel's New Realism for Ecological Citizenship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최승현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제37권 제4호, 193~2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뉴미디어의 확산에 따른 자본주의의 가속화와 상대주의의 만연, 팬데믹과 같은 불확실한 현상의 증가 이면에는 기후위기가 있다. 이와 관련된 인간의 절멸, 타자성, 거대사물, 취약성, 붕괴와 같은 담론이 주목받게 됨에 따라 환경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요청되고 있다. 인간중심적 세계상의 변경을 요청하는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생태 시민성에 주목하는 환경교육의 철학적 자원이다. 가브리엘의 의미장과 다원주의는 생태적 형평성이라는 철학적 논의를 심화한다. 가브리엘의 의미장은 우리가 사물과 사건, 관념의 존재 자체를 알 수 있다고 보며 다원주의는 우리가 때로 오류에 빠질 수 있지만 이를 객관화하는 과정을 통해 참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세대와 지역을 넘어 종(種)의 형평성을 추구하는 생태 시민성과 공명하면서 기후위기 문제를 과학적 지식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에 맞선다. 우리는 그의 논의를 바탕으로 생태 시민성 개념을 북극곰, 투발루, 미래세대의 삶은 생태라는 의미장에서 나타나며, 생태에 대한 오류가능성은 환경교육을 통해 바로잡을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가브리엘의 논의는 인간사회 중심의 가치관을 지구 자체로 확대하는 시각을 제공하는 동시에 생태 시민성 중심의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oday, behind the acceleration of capitalism due to the spread of new media, the spread of relativism, and the increase in uncertain phenomena such as pandemics, there is a climate crisis. As related discourses such as human extinction, otherness, large objects, vulnerability, and collapse receive attention,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re being requested. Gabriel's new realism, which calls for changes in the human-centered world, is a philosophical resour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focuses on ecological citizenship. Gabriel's field of meaning and pluralism deepens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ecological equity. Gabriel's field of meaning believes that we can know the existence of objects, events, and ideas, and pluralism believes that although we may sometimes fall into errors, we can obtain truth through the process of objectifying them. Gabriel's new realism resonates with ecological citizenship, which seeks equity across generations and regions, and counters the tendency to solve the climate crisis problem with scientific knowledge. Gabriel's discussion provides a perspective that expands human society-centered values to the Earth itself and simultaneously makes us think about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ed on ecological citizenship.
목차
Ⅰ. 머리말
Ⅱ. 의미장, 다원주의 그리고 기후위기
Ⅲ. 신실재론과 생태 시민성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류세의 교육(철학)을 위해 마르크스를 불러오기
- 위당 정인보의 심학(心學)적 역사의식과 교육적 시사점
- 불교의 인간관이 갖는 교육적 함의와 교육방안
- G. Deleuze와 F. Guattari의 분열분석(Schizoanalysis)이 미래교육 논의에 주는 함의 탐색
- 클라프키(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육학과 시대적 핵심 문제의 재음미
- 수신의 관점에서 본 조선 전기 문인들의 금(琴) 연주
- 일제강점기 조선식 및 학동식(學童食) 조사 연구에 관한 고찰
- 교육과 정치에 대한 Arendt의 ‘구분’, 그 긴장과 화해가능성
- 이성의 교육자로서의 상상력에 관한 연구
- 인류세 시대의 실존과 환경교육
- 교육사상연구 제37권 제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