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변혁적 리더십이 주도적 행동 및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부여, 동일시적 동기부여, 외재적 동기부여 및 무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15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Proactive behavior and Change Oriented-Organization Citizen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Identified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nd Amotiv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차동욱(Dongok Chah) 박천용(Chunyong Park) 이후석(Hooseok Lee) 김주영(Ju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7집 4권, 53~94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쟁과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조직이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필요하
다. 성공적인 조직변화를 위해서 리더는 구성원들이 변화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받아들이고 조직을 위해
주도적으로 행동하며 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부여 시켜야 한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영감을 불러일으키며 자신감을 고취시킴으로써 구성원들을 동기부여 하는 리더
십이다. 그런데 변혁적 리더와 구성원들의 주도적 행동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4가지 유형의 동기부여 즉, 내재
적 동기부여, 동일시적 동기부여, 외재적 동기부여 및 무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4가지 유형의 동기부여가 주도적 행동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국내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총 278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
들의 내재적 동기부여, 동일시적 동기부여 및 외재적 동기부여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무동기부여 상태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변혁적 리더십은 매개변수인 4가지 유형의 동기부여를 통해 주도적 행동 및 변화지향 조직시민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변혁적 리더십이 4가지 유형의 동기부여를 통해 구성원의 주도적 행동
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변혁적 리더십이 이러한 구성
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밝혀낸 점이다. 또한, 본 연구는 리더가 구성원들로부터 주도적
행동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 같은 긍정적인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about suggesting a vision for change, motivating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considering each organization membe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four types of motivation, namely intrinsic motivation,
identification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nd amotivation, and the effects of these four
types of motivation on proactive behavior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we collected data from 278 employees working in
Korean companies and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all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support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omotes
employees’ proactive behavior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four types of motivation. Namely, this study reveal the mechanism by whic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these employees'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leaders need to demonstrat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derive
positive actions such as proactive behavior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rom their employees and Transformative leadership can motivate employees in
organizational change so that employee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organizational chang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Good University Governance (GUG):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Outcomes for State Universities with Legal Entities (PTNBH) in East Java
- A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Logistics Management Practices and Firm Performance
- A Perceptions of Tourism & Hospitality Students Toward a Hospitable Service Mindset: A Preliminary Investig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