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evel of solvency margin ratio: Focusing on the non-life insurance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오창수 조석희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4권 2호, 41~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손해보험회사의 지급여력비율 수준에 따라 회계정보의 가치 관련성에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손해보험 회사의 요약적 회계지표(순자산, 순이익)와 자본 순전성의 가치관련성이 지급여력비율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적 회계지표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은 지급여력비율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지급여력비율의 수준에 따라 3개의 집단(높음, 중간, 낮음)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지급여력비율 수준이 높거나 낮은 집단의 경우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나 지급여력비율 수준이 중간인 집단의 경우에는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이는 재무건전성이 좋을수록 순이익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이 증가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다른 것이었다. 둘째, 자본의 순전성이 가지는 증분적 가치관련성은 지급여력비율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급여력비율 수준이 중간이하인 집단에서는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손해보험산업에서 재확인하고 지급여력비율을 이용하여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자본의 순전성은 지급여력비율이 높다는 전제하에서만 기업가치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새롭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evel of solvency margin ratio(hereafter SMR) in the non-life insurance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value relevance of equity book value and net income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SMR. On the group which have high or low score in the SMR,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of equity book value is higher. But, on the middle group relativ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is higher. Second, the value relevance of equity cleanness exists only when the SMR is high. Therefore, cleanness of equity was not significant variables on the group which have middle or low score in SMR. Our empirical study reconfirmed and specify the result of previous study that firm`s financial health affect the value relevance using the SMR. A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ation with cleanness of equity and firm`s value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SMR.
목차
Ⅰ. 서언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실증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