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using AI Chatbots on language education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정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2권 3호, 113~1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using AI chatbots on EFL learners’ language education effectiveness as well as moderator variables affecting program effectiveness. Forty-four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2 to March 2023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subjects,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a random effect model due to high heterogeneity among studies. A meta-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moderation effects, and publication bias was verified using Egger’s regression test. The effect size of AI education programs was significant, with a moderate effect size (0.428; 95% CI: 0.310-0.546), and major variables affecting language education effectiveness included school level by age and length for a single class. In terms of school level, it showed a higher effect size in the order of college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st effective length of a single class was found to be 51-60 minutes. The time range of 51-60 minutes is mainly associated with university student learning. From both the school level and the length of a single class perspectives, the effect size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is the largest.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higher likelihood of university students engaging in self-directed learning compared to younger learners. It is believ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time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improving learning effectivenes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application of AI education programs for EFL learner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면과 온라인 수업에서 EFL 학습자의 외국어 불안에 대한 인식 연구
-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생 영어학습자 학습지도 및 상담 사례 분석
- 한국 대학생의 영어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태도
- The Effects of Students’ Questioning while Writing on Their Usage of Teacher’s Feedback and Writing Process
- Social Media as an English Learning Resource: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 AI 챗봇을 활용한 영어교육 프로그램이 언어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Classroom Social Climate by English Competence
- 영어교과교육 22권 3호 목차
- Theoretical Perspectives on School-based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through Analyzing Cases in Other Countri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의 학사 혁신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수도권 대학 학사 업무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 중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진로상담 역량: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