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usical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 of Banga Taryung by Oh, Taesuk Kayagum Chorus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김혜정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32집, 105~13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태석은 가야금병창이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 형성되는 계기를 마련한인물로 손꼽힌다. 본고에서는 오태석 가야금병창 방아타령과 강정렬, 강정숙의 방아타령을 비교하여 사설구성, 형식, 음악적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아타령은 모든 창자가 중중모리 장단과 계면조를 근간으로 하며,선율이나 형식도 민요풍의 메기고 받는 형식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어서음악적 차이가 크지 않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점 이외에 메기는소리의차이, 민요형식의 변화, 가야금의 사용양상 등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태석은 간주의 활용이 두드러지며 강정렬과 강정숙은 간주의사용이 적거나 없는 대신 받는소리의 확대형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또한오태석은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의 규칙성이 강하지만 강정렬과 강정숙은상대적으로 받는소리 활용의 규칙성이 떨어지며, 특히 후반부에서는 메기는소리가 여러 장단으로 길어지면서 민요형식에서 많이 멀어져 있음을 알수 있다. 둘째, 메기는소리의 가사 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오태석의 가사에서는부인네들을 희롱하는 가사나, 방아찧는 모습을 묘사한 가사, 민요에서 등장할 만한 상황을 노래하는 가사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에 비해, 강정렬과 강정숙은 고사를 담은 가사를 더 선호한다. 즉 오태석은 민요에가까운 내용의 방아타령을 불렀던 것에 비해 강정렬과 강정숙은 방아타령을 관념적으로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오태석이 일시적 변조를 사용하거나 계면조의 꺾는 음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는 반면, 강정렬과 강정숙은 계면조의 꺾는 음 사용이 늘어나 있다. 또한 오태석에 비해 강정렬과 강정숙은 잉어걸이식의 엇붙임을많이 사용하고 있다. 오태석의 소리가 강정렬이나 강정숙에 비해 계면성이적고 엇붙임이 적은 것은 그의 소리제가 동편제의 계통을 잇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넷째, 오태석의 가야금병창 연주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성으로는 간주와후주의 사용이라 할 수 있다. 악곡의 중반에 주기적으로 반복 활용되는간주는 마치 판소리를 민요처럼 만들어 훨씬 듣기에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대상이 되게끔 해준다. 또한 간주와 후주를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의 선율을강조하여 가야금병창으로서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태석은 가야금병창을 보다 가야금병창답게 만드는 방법을모색한 인물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판소리도 아니고 가야금연주도 아닌가야금과 소리의 조화로운 어울림을 목적으로 가야금병창을 다듬어 내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Oh, Taesuk is recognized as a person who paved the way for Kayagum chorus(sing with Kayagum’s accompaniment) to become as an independent genre. This article compares Kayagum chorus Bana Taryung by Oh, Taesuk with Banga Taryung by Kang, Jungryul and Kang, Jungsook in order to examine the organization of ad-lib, format, and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Oh, Taesuk notably utilizes interludes while Kang, Jungryul and Kang, Sungsook usually use the expansion type of ‘receiving sounds’ while rarely, if not at all, using interludes. In addition, Oh, Taesuk has a regularity of ‘sending sounds’ and ‘receiving’ sounds’ while Kang, Jungryul and Kang,Junsook show less regularity in utilizing ‘receiving sounds’. In particular, at the end of the song, ‘sending sounds’ linger into various rhythms, drifting away from the format of folksongs. Secondly, after comparing the lyric of ‘sending sounds’, in Oh, Taesuk’s lyrics, there are a lot of lyric that express flirting with ladies, milling, and other kinds of lyric that sing about feasible situations likely to happen in folksongs while Kang, Jungryul and Kang, Jungsook prefer lyrics that contain ancient history. Thirdly, Oh, Taesuk uses temporary variation and uses bending sound of minor relatively less. On the other hand, Kang, Jungryul and Kang, Jungsook show more usage of bending sound of minor. In addition, compared to Oh,Taesuk, Kang, jungryul and Kang, Jungsook use Utbutim of Inguguri type (zig-zag walking). The reason Oh, Taesuk’s sori shows less minor and adlib is because his sorije joins with the line of Dongpyunje and he is doing Goje sori Lastly, in Kayagum performance by Oh, Taesuk, the most notable feature is the utilization of interlude and postlude. The regularly repeated interlude helps pansori sound like folksongs, turning it into a more amiable and understandable object. Also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terlude and postlude,melody of Kayagum is emphasized and thus, creating Kayagum chorus where its strengths are maximized. Oh, Taesuk is a person who devised a method for Kayagum chorus to come to its own style. It was for harmony of Kayagum and sori, not for either one resp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오태석 가야금병창 방아타령의 사설과 형식
Ⅲ. 오태석 가야금병창 방아타령의 음악적 특징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 ChatGPT 기반 TOPIK 말하기 평가피드백 모형 개발 및 적용
- AI 기반 피드백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에서의 논점과 설계 근거
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