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성소리의 전개

이용수  57

영문명
On the Development of Boseong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최동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21집, 23~4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보성소리의 근원이 되는 강산제 소리의 유래, 보성소리의 성립과 부상 그리고 보성소리의 실체와 미래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강산제 소리에 대해 박유전의 호를 따라서 강산으로 명명하였다는 주장과 박유전이 살던 곳이 강산리여서 그 지명을 따서 명명하였다는 주장이 있다. ‘강산제’란 명칭은 바디를 가리키는 명칭인데, 그렇다면 판소리의 명명법 상 박유전의 호를 따라 강산제라고 명명했다고 하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또한 같은 박유전의 소리를 전승하였으면서도 이날치 계통의 소리와 정재근 계통의 소리를 달리 명명한 것은 그 두 소리가 전승 시기의 차이로 인하여 많은 차이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보성소리는 박유전으로부터 전승한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와 김찬업으로부터 전승한 김세종 바디 <춘향가>로 이루어져 있다. <춘향가>는 정응민이 김찬업으로부터 전승했다고 하나,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 오히려 정재근일 가능성이 더 크다. 보성소리는 1961년 정권진이 상경하여 활동을 시작한 후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조상현, 성우향, 성창순 등이 전주대사습에서 연이어 장원을 한 1978년 이후에 확고한 지위에 올랐다.보성소리는 계승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이는 본래 보성소리가 단일한 대상이 아니라 복합체였기 때문이며, 전승자들이 각기 자기 개성에 맞게 전승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은 보성소리가 전승의 활력을 유지하면서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새롭게 탄생하고 있다는 증거이다.보성소리가 중앙으로 진출한 지 반 세기가 가까워 오면서, 이제 보성소리는 다음 세대들의 경쟁으로 넘어가고 있다. 이들 중에서 어떤 소리는 살아남고, 또 어떤 소리는 사라질 것이다. 그리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변화된 청중들의 기호에 적응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n the Development of BoseongsoriChoe, Tong HyeonThis study contains the arguments of the origin of Gangsanje pansori, and the formation, the rising, the substance and the future of Boseongsori.There were two insistences on how Gangsanje was named. The first insistence is that Gangsanje was named after the originator Bak Yu-jeon's pen name Gangsan. The second is that Gangsanje was named after the place name Gangsan-ri where Bak Yu-jeon lived. But in pansori the name of version is generally named after the originator's name. And I think that the first insistence is right.Boseongsori is composed of Shimcheong-ga, Sugung-ga and Jeokbyeok-ga which are handed down from Bak Yu-jeon and Chunhyang-ga which is handed down from Kim Se-jong. People say that Chunhyang-ga is introduced in Boseongsori by Jeong Eung-min from Kim Chan-eop. But in this study, the singer who receive the Kim Se-jong version Chunhyang-ga is supposed to be Jeong Jae-geun. Boseongsori was known to everybody after 1978.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Boseongsori singers. This is partially caused by the fact that pansori is not a single subject but a complex one. And the other reason is that the singers of Boseongsori have developed their own characters in pansori.Now 50 years is over from when Boseongsori was introduced in pansori society. And the future of Boseongsori will be determined by the Boseongsori singers themselves.

목차

가. 머리말
나. 강산제 소리
다. 보성소리의 성립과 부상
라. 보성소리의 실체
마. 보성소리의 미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현. (2006).보성소리의 전개. 판소리연구, (), 23-44

MLA

최동현. "보성소리의 전개." 판소리연구, (2006): 2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