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New Chinese Cosmetic Product Registration: Focusing on Technical Regulations for Pre-Market Approval
- 발행기관
- 한국무역연구원
- 저자명
- 윤은혜 정윤세
- 간행물 정보
- 『무역연구』제19권 제3호, 145~1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based on the latest Technical Barriers to Trade from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cosmetics industry, which is heavily dependent on exports to China, and discovers estimated difficulties to continue imports under new regula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mpared the cosmetic regulations and import standards of three major cosmetic importing countries. It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especially in new regulations, Cosmetic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Regulations from China. Findings – First, it highlighted the challenges that Korean exporters face due to the different regulatory standards for cosmetics in different countries. The new ordinances required excessive information disclosure, product efficacy evaluation reports, and localization using only Chinese local laboratories. These requirements could cause duplicate inspections, leak core technology, and hinder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cosmetics industry. Lastly, the absence of clarity on the basis and standards for protecting the safety data of cosmetic ingredients adds to the registration burden for companies to continue exporting. Research Implications – Korean cosmetics exporters are firmly positioned in the Chinese market with experience and world-class technology, but new Chinese Cosmetics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Ordinance may impact export values. However, there is currently insufficient data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ordinance. To become the world’s top cosmetics exporter, the Korean cosmetics industry needs a gradual approach to resolve China’s import regulations,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exporters and government agencies is essential. Future analysis may be possible with more quantitative data.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TBT 동향과 주요 국가의 화장품법 비교
Ⅳ. 중국 신 화장품감독관리조례의 특징과 변화
Ⅴ. 한국의 수출기업과 정부의 대응방안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에 관한 IPA 분석 연구
- Mediated Moderation Analysis in the Nexus of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nd the Green Economy
- 무역연구 제19권 제3호 목차
- 무역정책 불확실성의 전이가 한·중·일의 환율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ICSID 중재상 중재인의 공정성과 고지의무에 관한 고찰
- SPS협정 제8조 및 부속서 C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 글로벌 전환기에 따른 신 공급망 구축과 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 중국 新 화장품감독관리조례에 관한 연구
- Green Industrial Policy Conflict with WTO Rules and Implications for Emerging Economic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Energy Vehicles (NEVs)
- Research on Integrated Resorts (IR) and the Tourism Strategy Choice of Singapore
- 심리사회적 안전 풍토가 안전행동과 훈련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국 FDI와 환율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온실가스 규제가 비대칭적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
- Formulating a Blue Ocean Strategy to Revitalize the Hotel Industry: The Case of the Residence Hotel Industry in Korea
- 한국수출입은행의 공적수출금융지원이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브랜드 위기가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이용한 한국 HS9031 품목의 수출변동 분석
-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of Kids Cafe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NFT Index and Macroeconomic Factors in Korea
- 내륙운송 연계 컨테이너터미널 플랫폼 구축모형 요인분석
- CISG에서 손해배상 예견가능성의 기준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국제상거래에서 팬데믹에 의한 불가항력에 관한 비교연구: 대륙법계와 영미법계 주요국의 조항 및 판례 중심으로
- 물품매매거래상 부족수량 인도 시 매수인의 권리에 관한 연구: 영미법을 중심으로
- 무역결제방식에서의 Stablecoin의 활용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