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형 정신건강 통합서비스 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정신건강전문요원 인식도 조사
이용수 45
- 영문명
- A Study on Mental Health Specialists’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ive Mental Health Service Assessment Tool : Focus Group Interview
- 발행기관
- 대한사회정신의학회
- 저자명
- 임정숙 김성남 이미경 이해국 박한선 현진희 김혜수 이상민 백종우
- 간행물 정보
- 『사회정신의학』제23권 제2호, 44~5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1.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정신질환자의 인권보장과 탈수용화를 위한 치료환경 변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신건강 기관에서는 정신질환자에게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평가도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기관에서 근무하는 정신건강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한국형 정신건강 통합서비스 평가척도 개발을 위해 치료요구도 및 배치를 위한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연구 참여자는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정신건강 전문요원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여 조사내용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정신보건 현장에서 근무하는 정신건강전문요원들은 정신질환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합적 평가도구 개발과 사용에 있어 도구의 활용가능성, 개인적 역량 및 동기부여, 유지관리 등 3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가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는 한국형 정신건강 통합서비스 평가척도 개발에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평가도구개발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A variety of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now need an assessment tool to provide service to their patients, as it is required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and change treatment environment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ental Health Act, which was overhauled in 2016. This study surveye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bout their perceptions about the Korean assessment tool for mentally ill people’s treatment needs and placement.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which uses the assessment tool to provide service to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se subject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hen a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is study’s investigation.
Results :
This study’s results demonstrated that mental health specialists, who served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perceived 3 categories-tool usability, personal competency and motivation, and maintenance-and 10 sub-categories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use of the assessment tool, which measures mental health service needs.
Conclusion :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presented the finding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Korean mental health service needs assessment tool, and would be us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sic references to develop such a tool.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 (WHOQOL-BREF)의 개발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The Clinical Utility of Biomarkers in Diagnos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From 2013 to 2023
- Go and the Brain: Cognitive and Neural Impacts of Training
- Exploring the Mediation of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on Academic Ineffectiveness and Cynicism Among University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