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세대 간 차이의 조절효과 탐색
이용수 57
- 영문명
- Do Generational Differenc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Evidence from Public Employee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이민우 문국경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7권 제2호, 69~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we used the “2021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provid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that includes a sample of 4,133 public employees drawn from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lso, we employed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models to test servant leadership-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and the joint effect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MZ generation on job satisfaction. (Findings) We found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positive influence was stronger on the MZ generation than the older genera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Prac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is a significant factor for both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enhancement of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udget expansion related to the manifestation of servant leadership within organizations are necessary. Second, it is essential to create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enhancing job satisfaction among MZ members within organizational society. Third, a leader's mentality of delicate consideration is more crucial than leadership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vid-19 이후 지역주민의 심리회복 방안 분석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buse Risk among the Elderly using Unstructured Bigdata
- 지방정부의 성과추적조사 및 평가기법 구축연구
- 국민들의 산림행정에 대한 주요 니즈 분석
- 독거노인 맞춤형 뷰티케어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뷰티 서비스 욕구 및 뇌기능 분석
-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세대 간 차이의 조절효과 탐색
- 청소년서비스전달조직의 성과 인식에서 자율과 책무의 역할
- 창업지원 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역할 강화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