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두경부 IMRT 및 VMAT 시 체적 감소가 전산화치료계획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Effect of Volume Reduction on Computed Treatment Planning during Head and Neck IMRT and VMA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엄기천 김가중 백금문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6권 제3호, 239~2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 of reduction of tumor volume in the head and neck cancer by using RANDO phantom in Static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S-IMRT) and Volumetric-Modulated Arc Therapy (VMAT) planning. RANDO phantom’s body and protruding volumes were delineated by using Contour menu of Eclipse™ (Varian Medical System, Inc., Version 15.6, USA) treatment planning system. Inner margins of 2 mm to 10 mm from protruding volumes of the reference were applied to generate the parameters of reduced volume. In addition, target volume and Organ at Risk (OAR) volumes were delineated. S-IMRT plan and VMAT plan were designed in reference. These plans were assigned in the reduced volumes and dose was calculated in reduced volumes using preset Monitor unit (MU). Dose Volume Histogram (DVH) was generated to evaluate treatment planning. Conformity Index (CI) and R2 in reference S-IMRT were 0.983 and 0.015,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I and the reduced volume. Homogeneity Index (HI) and R2 were 0.092 and 0.960, respectively. The HI increased when volume reduced. In reference VMAT, CI and R2 were 0.992 and 0.259, respectively.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reduction and CI. On the other hand, HI and R2 were 0.078 and 0.895, respectively. The value of HI increased when the volume reduc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parameters (Dmean and Dmax) of normal organs of S-IMRT and VMAT except brain stem. Volume reduction affected the CI, HI and OAR dose. In the future, additional studies are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reduction of the volume in the clinical setting.
목차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엑스선 촬영 시 보조도구 재료로써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유용성
- 두경부 IMRT 및 VMAT 시 체적 감소가 전산화치료계획에 미치는 영향
- 실리콘 혼합 차폐체의 개발과 성능비교
- A Systematic Review of Trends for Image Quality Improvement in Light Microscopy
- 유리선량계 특성평가 및 판독 보정인자에 대한 불확도 평가
- A Comparison of Patient-specific Delivery Quality Assurance (DQA) Devices in Radiation Therap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Abnormal Finding of Left Femoral Bone Mineral Densitometry
- 핵의학 검체검사의 경고치 보고(Critical Value Report)에 관한 실태 조사 보고
- Lu-177 Dotatate SPECT/CT 검사에서 재구성 조건 변화에 따른 영상 질 평가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