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소도시별 거주자의 장래 계속 거주 가능성의 차이와 점유 유형, 거주기간이 미치는 영향

이용수  63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future residence probability of residents, and the effect of housing tenure choice and period of residence on them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Focused on Gyeongsangnam-do
발행기관
한국도시부동산학회(구.도시정책학회)
저자명
조준혁
간행물 정보
『도시부동산연구』13권 4호, 73~9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etween cities‘ the possibility of 'continuing to live in the city where you currently live', and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differences in living conditions affect the possibilit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8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nam-do and 15,000 households. A binary logit model was used. Among the 18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nam-do, the cities and counties that had the greater possibility of continuing residence than Changwon-si were Miryang, Yangsan, Uiryeong, Changnyeong, Goseong, Hadong, Hamyang, Geochang, and Namhae.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cities and counties were Geoje, Hapcheon, and Gimhae. Compared with those whose tenure type is their own house, the probability of continuous residence for those living in the rented house is smaller. The longer the period of residence i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nam-do cities and countie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continue liv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모형설정 및 실증분석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준혁. (2022).중소도시별 거주자의 장래 계속 거주 가능성의 차이와 점유 유형, 거주기간이 미치는 영향. 도시부동산연구, 13 (4), 73-90

MLA

조준혁. "중소도시별 거주자의 장래 계속 거주 가능성의 차이와 점유 유형, 거주기간이 미치는 영향." 도시부동산연구, 13.4(2022): 7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