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이용수 66
- 영문명
- An Investigation of the Framework for User Experience in Museum Mobile Ap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린정 서종환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2, No.1, 62~76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차원이나 경험 요소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할 때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과 관련된 경험에 대한 일련의 실험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4가지 차원과 19가지 요소로 구성된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타당성도 검증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이들 4가지 사용자 경험 차원은 모두 애플리케이션 사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각 차원의 미치는 영향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4가지 차원 중 사용감성과 사용편의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사용유용성과 기능다양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험 결과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사용자의 향후 추천이나 지속 사용의도, 또는 박물관의 실제 관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design of a museum mobile application's user experience demands an in-depth comprehension of the user experience dimensions and the unique attributes of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that users may encounter. This paper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al studies and analyses of experiences related to the use of museum mobile applications, derives a user experience framework consisting of four dimensions and 19 elements, which has been verified for feasibility. The study shows that all four dimens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user satisfaction, but the degree of impact varies. Among them, emotionality of use and ease of use have the greatest impact, while usefulness of use and multiformity of function have relatively less impact. In addition, the user experience of museum mobile application can also positively influence the user's future intention to recommend, continue using, and even the actual visit to the muse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실험연구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율 기계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스마트 온실 데이터 전처리 시스템
- 그래프 트랜스포머 기반 농가 사과 품질 이미지의 그래프 표현 학습 연구
-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UHD 활성화 전략
- Korean Text to Gloss: Self-Supervised Learning approach
- Support set의 중앙값 prototype을 활용한 few-shot 학습
- 영화 <파워 오브 도그>의 이차 프레임 연구
- 비선형 스토리텔링 전시형 문화콘텐츠 몰입을 위한 비접촉 인터랙션 행위 디자인 모델 제안
- Price estimation based on business model pricing strategy and fuzzy logic
- 침투 공격 검출을 위한 비대칭 신호 스캐닝 기법
- 박물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2, No.1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