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examining the Human Self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Buddhism's Self-Nature and Kierkegaard's Self
- 발행기관
- 한국아동부모학회
- 저자명
- 김수향
- 간행물 정보
- 『아동부모학회지』제7권 1호, 157~1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자성과 키에르케고르 자아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인간의 자아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불교의 『중송』, 『육조단경』과 키에르케고 르의 자아를 내용으로 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불 교에서 인간의 자아는 신과 무관한 독립적이며, 선성설적 입장이라며 키에르케고르는 실 존주의 시대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인간의 자아는 종교적 입장에서 신과의 관계에 의해 설명하고자 하는 차이점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자아에 대해 불교에서는 자신의 내부에서 자성을 찾는 것을 강조하고, 키에르케고르는 ‘내가 스스로 느끼는 내 자체’가 자아라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불교와 키에르케고르의 인간의 진정한 자성과 자아는 외부적인 요소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내적인 요소에 좌우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신 의 자아를 찾기 위해 항상 반성적으로 자신을 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human self by analyzing the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uddhist self and Kierkegaard's self. Forthis purpose, we analyzed the Buddhist 『Jungsong』, 『The Six-Party Sutras』, andprevious studies with Kierkegaard's self as cont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appeared as follows. In Buddhism, Kierkegaard said that the human ego isindependent of God and has a nemantic position. Reflecting the uncertainty of theexistentialist era,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ego and the relationship withGod appeared from a religious standpoint. In conclusion, with respect to the humanself, Buddhism emphasizes finding one's self within oneself, and Kierkegaardemphasizes that 'my self that I feel for myself' is the self. Therefore, according toBuddhism and Kierkegaard, the true self and self of man depend on internal factorsas well as external factor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lways havethe ability to reflect and reflect on oneself in order to find one's self.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