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oes the Agricultural Ecosystem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zerbaijan?
이용수 4
- 영문명
- Does the Agricultural Ecosystem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zerbaija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Elcin Nesirov Mehman Karimov Elay Zwynalli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5권 6호, 617~6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termining the main factors causing this pollution have become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Azerbaijan for 1992-2018.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study is the agricultural greenhouse gas emissions (CO2 equivalent). Eight variables were selected as explanatory variables: four agricultural inputs and four agricultural macro indicators. Unit root tests, ARDL boundary test, FMOLS, DOLS and CCR long-term estimators, Granger causality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agricultural emissions. The results show that chemical fertilizer consumption, livestock number, and pesticide use posi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agricultural emissions from agricultural input variables. In contrast, agricultural energy consumption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From agricultural macro indicator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crop and animal production index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gricultural emissions. According to the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are a causality relationship from chemical fertilizer consumption, livestock number, crop and livestock production index variables towards agricultural emissions. Considering all the results obtained, it is seen that the variables that have the most effect on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emissions in Azerbaijan are the number of livestock, the consumption of chemical fertilizers, and the use of pesticides,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information on agricultural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will play an enlightening role for policymakers and the general public.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aterial and Method
4. Findings
5.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천 해안지역 길산천 소유역에서의 고염분 지하수와 씻김 현상
- Revised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astern Chungnam Basin in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 지하수위와 수온 변동에 나타난 부지 규모 지하수 흐름장의 복잡성
- 동시베리아 얼음쐐기 시료의 해동방법이 시료의 화학적 특성분석에 미치는 영향
- 쌍전 함 텅스텐 열수 맥상광상의 생성환경
- 폐광산 인근지역에서 중금속, 비소, 안티모니의 지구화학적 오염도 평가 및 분산 특성 조사
- 주기적 침수구역 이질암 표면의 지구화학적 변화와 풍화심도 모델링
- 이차전지용 그래핀 음극소재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충주-괴산일대에서 산출되는 주요 기반암의 골재로서의 물성특징
- Does the Agricultural Ecosystem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Azerbaijan?
-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지질처분을 위한 해외 선진국의 심부 지하수 환경 연구 동향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중력이상 수치해석을 통한 연천지역 군발지진 원인분석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untermeasures of Concentrations of Ambient PM10 and PM2.5 in Yangju, South Korea
- 백제 웅진기 벽돌무덤에 사용된 벽돌의 재료와 첨가물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