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웹툰에 나타난 심청 서사의 재맥락화

이용수  131

영문명
Recontextualization of Simcheong’s Narrative Appeared in Webtoon: Based on the Webtoon Geunyeoui Simcheong and Webtoon Samjangmiinga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선현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5권, 65~9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심청전>을 바탕으로 창작된 두 편의 웹툰, <그녀의 심청>(Seri 글, 비완 그림), <삼작미인가>(므앵갱 글, 그림)을 대상으로 웹툰에 나타난 심청 서사의 재맥락화 양상을 살폈다. 두 웹툰은 2017~2019년에 연재되며 <심청전> 안팎의 여성 인물들을 재해석하거나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녀의 심청>은 <심청전>을 중심으로 심청과 장승상 부인, 뺑덕을 재해석하여 심청 서사를 재구성하였고, <삼작미인가>는 <심청전>과 <춘향전>, <배뱅이굿>의 중심인물인 심청, 춘향, 배뱅을 함께 등장시켜 새로운 서사를 구성하였다. 이처럼 두 웹툰이 <심청전>을 활용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장승상 부인과 심청, 뺑덕, 춘향, 배뱅 등의 여성 인물의 서사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공모와 연대를 통해 자신들을 위기로 몰아넣은 폭력적 세계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 그리는 데에 관심을 쏟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열과 효라는 조선 시대 가부장제 규범, 그리고 남성과 신의 질서 아래 죽음을 강요받았던 여성들의 문제를 조명하였다. 두 웹툰은 2015년 부상한 페미니즘 리부트 움직임의 자장 안에서 심청 서사가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recontextualizing Simcheongjeon was analyzed, based on webtoon Geunyeoui Simcheong(Written by Seri, illustrated by Biwan), and webtoon Samjangmiinga(Written and illustrated by Meuaenggaeng). These two webtoons are serialized between 2017 and 2019 and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reinterpret or reconstruct the female characters inside and outside of Simcheongjeon. Webtoon Geunyeoui Simcheong reconstructed the narrative of Simcheong by reinterpreting Shimcheong, Mrs. Jang Seungsang and Ppaengdeok centering on Simcheongjeon. Webtoon Samjangmiinga is based on Simcheongjeon, Chunhyangjeon and Baebaengigut, and the central characters of each work, Shimcheong, Chunhyang, and Baebaeng, appear together to form a new narrativ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wo webtoons utilize Simcheongjeon, they all focued on the narratives of female characters such as Mrs. Jang Seungsang, Shimcheong, Ppaengdeok, Chunhyang, and Baebaeng. And They depicted the process of their escape from the violent world that put them into crisis through solidarity. Through this, the problem of women who were forced to die under the patriarchal norms and order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represented by filial piety and chastity, was highlighted. The two webtoon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are examples of how the Simcheong narrative can be reconstructed in the feminist reboot movement that emerged in 2015.

목차

1. 머리말
2. 웹툰 <그녀의 심청>, <삼작미인가>의 심청 서사 재맥락화
3. 심청 서사의 재구와 고전 여성 콘텐츠의 가능성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현. (2022).웹툰에 나타난 심청 서사의 재맥락화.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65-93

MLA

김선현. "웹툰에 나타난 심청 서사의 재맥락화."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2): 65-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