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ost COVID-19 목척수손상환자에 대한 인센티브 폐활량계을 동반한 호흡훈련의 효과: 사례연구
이용수 47
- 영문명
- The Effect of Respiratory Training with Incentive Spirometry Training in a Post COVID-19 Patient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A Case Study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지연 김경희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41~4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spiratory training on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a patient with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Methods: A case study design was used. A patient with post-COVID-19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was enrolled and received general rehabilitation therapy (5 days per week). The Tri-ball incentive spirometry training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20 min for 8 weeks, gradually increasing the intensity and frequency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 respiratory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spirometry, and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using the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before and 4 and 8 weeks after training.
Results: After training, the respiratory function parameters, particularly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1 s (FEV1), and peak expiratory flow (PEF), increased. The SF-36 score remarkably increased after trai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incentive spirometry training to a patient with post-COVID-19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showed that respiratory training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목차
- 코로나19 후유증환자에게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적용 후 폐기능 및 운동능력의 변화(사례연구)
- Post COVID-19 목척수손상환자에 대한 인센티브 폐활량계을 동반한 호흡훈련의 효과: 사례연구
- 노인의 고혈압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측정된 신체 활동량의 연관성
- 딥벨트의 가로막 수축압력과 초음파영상의 가로막 움직임 및 폐활량과의 상관성
- 서로 다른 cardiac rehabilitation protocol(RPE 11-13 and RHR+20) 이 급성 CABG 환자의 산소섭취율과 호흡기능개선에 미치는 효과
- 운동 종료 후 호흡보조 도수기법 적용이 심장박동회복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 목척수손상환자의 호흡근훈련의 효과
- 중증 COVID-19 환자에서 호흡재활프로그램의 종합적 효과: 단일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