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성과, 직무만족 간 관계
이용수 126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Control–Challenge appraisals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전학철 허신유 구자숙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7집 제4호(통권104호), 31~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 대한 의논 결과를 기초하여 도전 관련 스트레스와 방해 관련 스트레스로 분류된 스트레스가 개인에게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살펴보며, 그와 함께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 간의 내적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전 관련 스트레스와 방해 관련 스트레스가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도전평가와 통제평가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인지된 조직 지원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318명 회사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도전 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도전평가를 많이 함으로써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이 증진되었으며, 방해 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통제평가를 많이 함으로써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이 약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인지된 조직 지원이 높을 경우에는 도전 관련 스트레스가 도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방해 관련 스트레스가 통제평가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discussion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stress classified as challenge-related stress and interruption-related stress on individuals, and studies the internal mechanism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first, the effects of challenge-related stress and interruption-related stress 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n the mediating effects of challenge appraisal and control appraisal were examined, and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examined.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18 office workers in Chin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stress related to challenge, the more challenge appraisals were performed, thereby improving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process, wh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high, the effect of challenge-related stress on challenge appraisal was higher, 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hinderance-related stress on control appraisa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과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