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lleged Violations of Sovereign Rights and Maritime Spaces in the Caribbean Sea (Nicaragua v. Colombia, 2022): A Commentary
- 발행기관
- 국제법평론회
- 저자명
- 김민철(Kim, Minchul)
- 간행물 정보
- 『국제법평론』제63호, 33~87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9,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judgment of the Alleged Violations of Sovereign Rights and Maritime Spaces in the Caribbean Sea (Nicaragua v. Colombia), which was rendered by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in April 2022. In addition, it provides some comments in law of the sea perspective and also draws implications in Korean perspective. In this judgment, the ICJ dealt with the following issues: the rights and duties-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fisheries and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Nicaragua and Colombia in Nicaragua’s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compatibility of Colombia’s contiguous zone wit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Nicaragua’s alleged infringement of the traditional fishing rights of the Colombian nationals, and the compatibility of Nicaragua’s straight baselines wit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oints out several noteworthy features in the judgment: first, the ICJ recognized the spatial limit of the contiguous zone and the contents on the control of the coastal State in this zone in accordance with article 33,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econd, the ICJ found it possible for the EEZ and contiguous zone to be overlapped between States, because the two regimes regulate different rights and duties; and third, the ICJ determined whether the straight baselines system established by the coastal State was in effect legal or not. Lastly,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law of the sea, this article also takes note that the ICJ declared or reaffirmed that not a few articles of UNCLOS reflected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is judgement. This suggests that UNCLOS is constantly contributing to the materialization of the customary law of the sea and broadening its universality in the law of the sea field, as the so-called Magna Carta of the ocean.
목차
Ⅰ. 서 론
Ⅱ. 사건의 배경 및 경과
Ⅲ. 판결의 주요내용
Ⅳ. 평 가
Ⅴ. 결론에 갈음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동차세 개정안의 한미 FTA 제2장 위반 가능성에 관한 고찰
- Ethnic Cleansing as a Distinct Crime under International Law: Assessing the Case of Forcible Transfer of Ethnic Koreans in the Former USSR(1937)
- WTO SPS협정상 지역화에 관한 연구
- The Enrica Lexie Incident 판정과 함의
- 신탁통치제도의 국제법적 고찰
- 국제해양법재판소의 2019년 M/V “Norstar”호 사건 본안 판결에 대한 국제법적 분석
- 니카라과-콜롬비아 간 카리브해에서의 주권적 권리 및 해역 침해 주장 사건 평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스페인]검찰의 구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한 판결에 대한 재판소원–헌법소원의 적법요건으로서 ‘특별한 헌법적 중요성’
- [미국]차별사건에서 다수집단에 속하는 청구인에게 추가적인 입증책임이 부과되는지 여부
- [독일]독일 내 미군기지에 예멘 공격 드론을 배치한 것이 예멘인에 대한 독일의 기본권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