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노예제에 대한 침묵: 패트리샤 로제마의 『맨스필드 파크』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황정숙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27권 3호, 33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패트리샤 로제마는 1999년 제인 오스틴이 1814년 출판한 소설 『맨스필드 파크』를 영화화하며, 오스틴의 조용하고 연약한 주인공 패니 프라이스(Fanny Price)를 활동적이고, 재치있고, 절대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토마스 버트람 경(Sir Thomas Bertram)에게 저항하는 인물로 바꾸고, 노예제와 관련된 이슈들을 전면에 내세운다. 개봉 후 영화가 원작을 훼손시켰다는 논의가 제기되자, 로제마는 오스틴이 결혼 시장에서 거래되고 남성에 의해 종속된 백인 여성들의 삶을 통해 노예의 삶과 노예제의 문제를 소설에 재현하고 있으며, 자신은 원작을 충실히 재현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로제마에 앞서 많은 비평가들이 오스틴의 소설에서 패니가 안티구아(Antigua)를 방문하고 돌아온 버트람 경에게 노예제에 관해 질문한 후 이어진 침묵(“a dead silence”)에 주목하며, 이 장면이 어떻게 오스틴이 노예제에 대해 가졌던 생각을 반영하는지 그리고 패니가 어떻게 억압받는 타자—백인 여성들과 노예—를 대변하는지 연구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백인 여성들을 억압받는 동일한 그룹으로 간주하고, 패니를 사회경제적 위치가 다른 백인 여성들, 더 나아가 인종적 타자이자 상이한 역사적ㆍ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안티구아의 노예들을 대변하는 인물로 읽으며 서구 페미니즘이 비서구 타자를 재현하며 제기되는 문제점들을 재생산한다. 본고는 패니를 여성 타자와 흑인 노예를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하는 연구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노예제를 전면에 내세운 로제마의 영화에서 어떻게 흑인과 노예제의 문제점을 침묵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Adapting Jane Austen’s 1814 novel to film, Mansfield Park (1999), Patricia Rozema transforms Austen’s Fanny Price into an active, witty, and rebellious heroine and centralizes the theme of slavery. The film’s fidelity has been earnestly debated, but Rozema claims that her film is faithful to the original source. As she points out, the seemingly incongruent link—between Austen and slavery—is not new. Austen’s Mansfield Park has been widely examined regarding the issue of slavery and Fanny has been commonly read as a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Other, women and slaves. These readings, however, reveal an uneasy relationship between feminism and post- colonialism by conceptualizing white women as a homogenous group of the powerless and oppressed. The relationship becomes more problematic when they readily equate Fanny with the non-white exploited racial Other, the slaves in Antigua. Analyzing the limitations of Austen’s representation of slavery, I examine how Rozema not only faithfully reproduces the limitations but also silences the Black Other—the slaves in Antigua—who only appear in Tom’s sketches of Antiguan slaves and sculptures of Black servants at Mansfield Park.
목차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평과 이론 제27권 3호 목차
- <영화>, 니힐리즘과 초객체 사이에서
- Poetic Inspiration and Philosophical Self-Discipline: Metapoetic Allusions in Keats’s Hyperion
- 공거의 생태
- 한국비평이론학회가 걸어온 길
- Aesthetics of Nonduality: Genuine Transcendence, the Imperceptible Other, and Joker
- 빅데이터 시대의 비평이론
- 서구 현대 공동체론
- 난민이라는 장소
- “Impersonality” in Shakespeare’s Hamletand Its Modern Adaptation in BBC Hamlet
- 뮈토스는 신화이고 로고스는 이성인가?
- 신경정신분석의 이론적 기초 I
- <비 오는 날의 오후 세 시>(1959) 속 멜로드라마 미학과 윤리
- “A Dead Silence” of Slavery in Patricia Rozema’s Mansfield Park
- 이론의 영혼
- 한국비평이론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미문학교육 제29집 2호 목차
- 기능적 문해력을 넘어서: 2025 가을특집호 내러티브와 영문학/영어교육 서문
- 세 개의 수사로 바라본 구텐베르크의 은하계 - 맥루한의 실(복)낙원, 문해력 탐색과 구원의 신앙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