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다이어그램의 시대별특징에 관한 연구
이용수 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of Diagrams appearing in Modern Architecture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문고리(Ko Ri Moon) 박지훈(Ji Hun Park) 이승용(Seung Yong Lee)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Vol11, No.8, 37~4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건축의 설계 과정에서 다이어그램(diagram)은 설명의 도구, 생성의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많은 건축가들이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거나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개념과 이를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은 단순한 매체의 역할을 넘어 실재적 건축 설계 과정 속에서 수용자들에게 창조적 작업의 일환으로써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간 건축공간구성에서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구로서 다이어그램을 시대별로 정의하여 건축 과정에서 다이어그램을 통한 건축가의 다양한 사용방법과 디자인 과정에서 적용된 다이어그램의 작동 과정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e design process of modern architecture, diagrams are most commonly used as tools of explanation and creation. Many architects use diagram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or creating their own works, and the concept of programs and diagrams expressing them are accepted by audiences as part of creative work in the process of actual architectural design beyond the role of a medi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uses of architects through diagram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diagrams applied in the design process by defining diagrams by era as a tool to show the process of building space over the past 30 year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위자기반 모형 분석이론에 따른 과학관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 Multi-Cattle tracking with appearance and motion models in closed barns using deep learning
- 한의학에서 경혈학 교육의 디지털 기술 적용에 대한 제안
-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8 목차
- 텍스트와 음성의 앙상블을 통한 다중 감정인식 모델
- 래플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광고 효과
- 한국 전통의 도자 식기에서 느껴지는 대표 감성
-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다이어그램의 시대별특징에 관한 연구
- 네트워크 이론을 이용한 한국과 베트남의 관심어 차이 분석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메타버스 분야 국가 R&D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컴퓨터학분야 BEST
- 지도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관광 빅데이터의 시각화
- 공서비스 공급 관점에서 살펴본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 시범사업과 의료민영화 논쟁
- 인적 특성을 반영한 안전 정보디자인의 개념과 특징
공학 > 컴퓨터학분야 NEW
- 스마트미디어저널 제14권 제6호 목차
- ASD 예측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시선 추적 이미지 분류 모델 구축
- A review of the clinical implementation of a transparent orthodontic system utilizing Korean techn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