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상갑상샘기능 갑상샘눈병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
이용수 18
- 영문명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Euthyroid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상윤(Sang Yoon Kim) 안정효(Jung Hyo Ah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9, 741~74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정상갑상샘기능 갑상샘눈병증 환자의 임상적인 특징을 갑상샘기능항진 환자와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5년 9월부터 2021년 1월까지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서 갑상샘눈병증을 진단받은 환자 중 갑상샘기능이 정상인 16명과 갑상샘항진증을 진단받은 80명, 총 96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흡연 여부, 고혈압과 당뇨 병력, 경과 관찰 기간, 한 눈 침범 여부, 눈꺼풀 및 결막 소견, 눈꺼풀후퇴 및 내림지연 여부, 임상활동도 점수, modified NOSPECS 점수, 안구돌출도, Hess검사, 외안근 단면적, 스테로이드와 방사선 치료 여부, 혈중 유리 티록신, 갑상샘자극호르몬, 항티로글로불린항체, 항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 갑상샘자극 면역글로불린 농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갑상샘항진군에 비해 정상갑상샘기능군의 한 눈 침범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결막충혈, 임상활동도 점수, modified NOSPECS의 연조직 점수, Hess검사 안구운동 제한, 하직근 최대 단면적, 정맥내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여부, 혈중 유리 티록신, 항티로글로불린항체, 항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 농도는 정상갑상샘기능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정상갑상샘기능 갑상샘눈병증 환자는 갑상샘기능항진군에 비해 한 눈을 잘 침범하고 임상활동도와 중증도가 낮았으며, 하직근비대와 안구운동 제한 및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시행 비율이 적었다. 또한 혈중 유리 티록신, 항티로글로불린항체, 항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의 농도가 더 낮은 특징이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clinical features betwee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TAO)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and euthyroidism.
Methods: Between September 2015 and January 2021, we enrolled 96 TAO patients with euthyroidism (n = 16) or hyperthyroidism (n = 80). We recorded the age, sex, smoking status, pres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total follow-up period, unilateral involvement, eyelid edema, lid lag and retraction, clinical activity score (CAS), modified NOSPECS score, exophthalmometry, Hess test, area of extraocular muscles on orbital computed tomography (CT), treatment with systemic and subconjunctival steroids and radiotherapy, and serum levels of free thyroxine, 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ti-Tg Ab), anti-thyroid peroxidase antibody (anti-TPO Ab), TSH receptor antibody (TSHR Ab), and thyroid stimulating antibody.
Results: Unilateral involvement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euthyroid group, while conjunctival injection, CAS, extraocular muscle movement restriction within 10° on the Hess chart,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erior rectus on orbital CT, and treatment with intravenous high-dose steroid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hyperthyroid group. Furthermore, the modified NOSPECS score and levels of free thyroxine, anti-Tg Ab, anti-TPO Ab, and TSHR Ab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erthyroid than euthyroid group.
Conclusions: Compared to hyperthyroid TAO patients, those with euthyroid TAO were more likely to have unilateral involvement. They also had lower clinical activity and severity, milder enlargement of extraocular muscles (EOMs), and lower rates of EOM movement restriction and treatment with intravenous high-dose steroid. Euthyroid TAO patients had lower levels of free thyroxine, anti-Tg Ab, anti-TPO Ab, and TSHR Ab compared to hyperthyroid TAO patien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빛간섭단층촬영 Guided Progression Analysis의 안구회선 보정 전후 차이
- 첨가제 구성이 다른 라타노프로스트 장기 사용이 안압, 충혈, 눈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만성 결막염으로 오인된 성인봉입체결막염 2예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외인성 진균안내염 6예
- 국내 아이스텐트 인젝트와 젠의 단독 시행 및 백내장 병합술 성공률 비교와 예후인자 분석
- 크기 증가와 조영 변화를 보인 안와 내 종괴가 고립성 섬유종으로 밝혀진 1예
- 한국인 대상 자동굴절검사와 현성굴절검사로 계산된 최적화 인공수정체 상수 비교
- 공막돌륭술 후 발생한 안와 연조직염을 동반한 결막하 농양
- 정상갑상샘기능 갑상샘눈병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
- 눈모음부족형 외사시에서 양안 외직근 후전 및 하방전위술과 양안 외직근 근경사후전술의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