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미적 상호운영성을 위한 간호용어지원 도구 개발
이용수 2
- 영문명
- A Development of Nursing Vocabulary Support Tools for Semantic Interoper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화선(Hwa-Sun Kim) 홍해숙(Hae-Sook Hong)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 No.1, 153~16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 terminology for developing integrated nursing management tools. We developed both a tool for linking nursing diagnosis, nursing outcomes, and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and an ontology development tool. The linking tools had a higher score of an average of 3.65 (±0.22) in satisfaction at the 4-point Likert scale for nursing students, wherea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ontology construction tools the nursing unit records at gynecology were extracted. The problems of extracted nursing diagnoses were expressed as a concept of SNOMED CT, which showed that 83 factors in 112 nursing statements were mapped through 21 nursing diagnoses and pre-coordinated mapped method and those mapped data were generated by 100% nursing diagnosis ontologies. The two tools were combined to develop an integrated tool. In order to test the integrated tool, the study conducted the test of 510 created data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the coincidence of mapping, the study employed 4-point Likert scale which had been used by two specialists. The specialist 1 proposed as average scores 3.68 points and 3.60 points respectively, whereas the specialist 2 proposed as average scores 3.72 points and 3.65 points each. CVI which had showed them as percentile, appeared to agree to the mapping result while recording the high score of 0.94. The tool used the OWL format, which can be used to configure the nursing knowledge system. The tool was developed so that it could support a standardized terminology-based nursing information system, enabling meaningful ut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decision-support systems using nursing knowledge.
목차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 개인식별을 위한 STR 마커의 개발
- 유헬스 서비스 활성화 방안
- 의미적 상호운영성을 위한 간호용어지원 도구 개발
- 종합건강진단을 통한 암발견 수진자의 특성분석연구
- 우리나라 지방의료원의 BSC 성과지표 간 인과관계 및 모형 적합도 검증연구
- 정상 성인의 발화 과제에 따른 발성-공기역학검사 결과 비교
- PHR 개발을 위한 병원 데이터에 관한 연구
- 지역대학 보건계열 대학생의 생활환경과 전공만족도에 대한 연구
- 립 컬러에 표현된 20세기 남·여성의 심리표현
- 2D Stereo Image의 3D 벡터 이미지 생성
- 학교 폭력의 현황과 실태
- 확장성을 갖는 u-Health 상황인식추론 모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