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Factors Related to Child Abuse Recognition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효신(Hyo-Shin Kim)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6 No.1, 79~8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용인지역 일 대학에서 간호대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 인식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여학생의 아동학대 인식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졸업 후 아동학대 신고의무인지여부에 따른 아동학대 인식은 차이가 있었으며 졸업 후 아동학대 신고의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보다 아동학대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간호대학생이 졸업 후 아동학대 신고의무가 있음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을 고려할 때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교육시 졸업 후 신고의무가 있음을 알릴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child abuse recognition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205 nursing students, who were selected in a university in Yongi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child abuse by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Second, the recognition of child abuse of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know that they had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after graduation than those who did not know the du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form that nursing students are obliged to report after graduation in child abuse, considering that many students do not know that they have the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after graduation.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생체정보메세지의 성능 평가
- 서로 다른 두 개의 2차원 CAT 기저함수를 이용한 컬러영상 암호화
-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영향
- 여성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맞춤형 사회복지 관련 직무 수행 능력을 위한 기초 연구
- 스마트 헬스케어 기반의 ISO/IEEE 11073-10415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회복탄력성, 교육실습불안 간의 관계
- 경락마사지와 고주파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복부둘레 사이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일부 임상치과위생사 의사소통 관련 요인
- 간호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 성인여성의 출산에 미치는 요인과 산후 경험 특성
- 전기-후기노인의 엑티브에이징 활동이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 자색 양파 수침엑스의 간독성 보호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