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19 팬데믹에서 일상생활로의 회복 단계로 전환되는 시점에서의 보건용 마스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용수 206
- 영문명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Health masks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the COVID-19 pandemic to the Recovery stage for Daily lif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이연희(Yeon-Hee Lee) 양옥렬(Ok-Yul Yang)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0 No.1, 89~9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일상생활로의 회복 단계로 전화되는 시점에서의 보건용 마스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38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실외 마스크착용 의무가 완화된 현 시점에서 여전히 실외 마스크를 착용하였고(3.63±1.34), 마스크 착용의 이유로는 ‘마스크착용이 습관이 되어’가 27.8%, ‘감염의 두려움’이 19.4%였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손씻기는 잘 지키고 있었으며(4.07±1.00), 감염 의심 시에는 바로 홈키트나 신속항원검사 등으로 감염여부를 체크하는 태도를 보였다(3.88±1.17). 또한 코로나19는 위협적이지 않다(3.19±1.28)와 감염 후 쉽게 회복(3.19±1.28)될 것이라 인식하였다. 코로나19 감염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새로운 일상의 단계적 회복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올바른 정보의 제공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며, 개인별 생활방역수칙의 자율 실천에 관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targeting 38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about health masks at the time of transition from the COVID-19 pandemic to the recovery stage. As a result, at the time when the obligation to wear an outdoor mask was relaxed, they still wore an outdoor mask (3.63±1.34). As for the reasons for wearing a mask, 27.8% said 'wearing a mask became a habit' and 'fear of infection' was 19.4%. Hand washing to prevent COVID-19 was observed well (4.07±1.00), and when infection was suspected, they showed an attitude of checking for infection with a home kit or rapid antigen test (3.88±1.17).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COVID-19 is not threatening (3.19±1.28) and that it will recover easily after infection (3.19±1.28).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COVID-19 infections continues to decrease, the government is pushing for a gradual recovery of new daily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that affects individual awareness and to promote it through various media, an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the autonomous practice of individual quarantine rule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래지향적 역량교육을 위한 전문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도구 고도화 개발
- 대학생의 수분섭취 정도에 따른 타액 코르티솔 호르몬 및 혈액 성분의 관계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코로나 19 팬데믹에서 일상생활로의 회복 단계로 전환되는 시점에서의 보건용 마스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 보호관찰 중인 정신장애자의 심리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행정 교육프로그램 실무수업에 관한 고찰
- 여성 공무원의 조직지원과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와의 관련성
- 간호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대인관계능력, 우울과의 관계
- 강원도 노인인구의 자살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사의 역할
- 상급종합병원과 중소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 레스, 감정노동, 역할갈등 및 조직몰입 비교
- 영유아 교사의 대인관계 유능성 및 주관적 안녕감이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관련 요인분석
- EMR 인증 의료기관의 직종별 EMR 인증 및 시스템 기능성에 대한 인식
- 처방정보관리를 위한 EMR 인증기준의 실습 모델 연구
- 일부 대학생의 흡연여부에 따른 구취와 구강 내 세균 분포
-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자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 노인에 대한 편견, 사회적 거리감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