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enzalkonium Chloride for Experimental Dry Eye Induction in a Rabbit Model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윤희수 김유준 윤현정 윤경철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3,number8, 660~66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토끼 모델에서 0.05%, 0.1%, 0.2% 농도의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BAC) 점안액이 임상인자 및 조직학적소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0.05%, 0.1%, 0.2% 농도의 BAC 실험군 및 대조군을 분류하였으며, 각 군당 3마리의 토끼를 사용하였다. 세 가지 농도의BAC를 양안에 1회 2 μL, 1일 2회 총 14일간 국소 점안하였다. 그리고 baseline, 3일, 5일, 7일, 10일, 14일째에 토끼의 양안에서 눈물량, 눈물막 파괴시간 및 각막 형광염색점수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건성안 유발 후 14일째에 모든 토끼를 안락사시키고 안구 조직을적출한 후 결막 내 술잔세포 농도 및 각막 상피 사멸세포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0.05% BAC군은 14일째, 0.1% BAC군은 10일째, 0.2% BAC군은 실험 5일째 baseline에 비해 눈물 분비량 및 눈물막 파괴시간이감소하였고 각막 형광염색점수가 증가하였다(모두 p<0.05). 조직 검사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들의 결막 내 술잔세포수가감소하였으며 각막 사멸세포수는 증가하였다(모두 p<0.01). 특히, 결막 내 술잔세포수는 0.05% BAC군에 비해 0.2% BAC군에서 더낮았으며, 각막 상피 사멸세포수는 모든 실험군에서 각 군 간 차이를 보였다(모두 p<0.01).
결론: 0.2% BAC의 사용은 다른 농도의 BAC에 비해 초기에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건성안 토끼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parameters and histological findings according to the benzalkonium chloride concentration (BAC; 0.05%, 0.1%, and 0.2%) for inducing experimental dry eye (EDE) in a rabbit model.
Methods: Rabbi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BAC concentration: untreated group, 0.05%, 0.1%, and 0.2% BAC. BAC was instilled topically in both eyes of the rabbits twice daily until they were euthanized after 14 days. Tear volume, tear break-up time (TBUT), and corneal fluorescein staining score (CFS) were measured 0, 3, 5, 7, and 14 days after treatment. After excising tissues on day 14, the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and corneal epithelial apoptosis were quantified.
Results: The tear volume and TBUT were lower and the CFS was higher than baseline values after 14, 10, and 5 days in the 0.05, 0.1, and 0.2% BAC groups, respectively (all p < 0.05). At 14 days, the 0.2% BAC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aggravation of all clinical parameters, and the 0.1% BAC group had a lower CFS (all p < 0.05) than the 0.05% BAC group. In all BAC groups, the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was lower and corneal epithelial apopt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untreated group (all p < 0.01). The conjunctival goblet cell density was lower in the 0.2% BAC group than in the 0.05% BAC group. Between-group differences in corneal epithelial apoptosis were observ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ll p < 0.01).
Conclusions: Instilling BAC for 14 days induced EDE in the 0.05, 0.1, and 0.2% BAC groups. Although 0.2% BAC cannot be used for a severe EDE model, it is useful for inducing EDE in a rabbit model in a short time.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체강 내 브롤루시주맙 주입술 후 발생한 망막색소상피파열
-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는 소아에서 발생한 시신경유두부종을 동반한 특발두개내압상승 1예
- 도졸라마이드/티몰롤 혼합 제제를 사용 중인 원발개방각녹내장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추가 시 효과
- 혈관 주위 내망막층 결손이 있는 고도 근시안의 녹내장 진행
- 중심망막정맥폐쇄의 장기 결과와 황반부종 소실과 연관된 인자
- 재발한 안구표면 편평세포 암종에서 인터페론 Beta-1b, 마이토마이신 병합 치료 1예
- 전안부 단층촬영을 이용한 선천 녹내장 환아의 윤부 및 중심 각막의 두께 변화
- 토끼 모델에서 실험적 건성안 유도를 위한 염화벤잘코늄 농도 비교
- 산발성 눈꺼풀 피지샘종 1예
- 전신마취 시 유리체망막수술 후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로 관찰한 비수술안의 맥락망막 미세혈관 변화
- 0.12%의 클로르헥시딘에 의한 단안 각막부종 1예
-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익상편의 두께와 난시, 각막상피하 침범 길이에 대한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서평] 정책사와 경영사를 아우르는 최초의 일제시기 사설철도 연구서 (林采成, 『帝国と私鉄: 朝鮮開発をめぐる総督府と日本資本)』
- 일제 헌병에 피탈된 의병자료의 환수
- 일제하 조선인의 「아동학대방지령」 요구와 식민 권력의 대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