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간지 담론분석을 통해 본 한국 개신교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Church based on discourse analysis of the daily news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Protestantism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0집, 75~10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간지 사설이 생산하는 종교담론은 종교의‘신앙 정체성’담론이기 보다는‘사회관계성’담론이라 할 수 있다. 사회관계성 담론으로서 개신교 담론에 대한 이해는 한국적 상황에서 진행되는 사회구조적 변동을 배경으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언론이 생산한 공공담론은 사회현실 자체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시공간적 특수성을 전제로 일정한 가치와 잣대로 해석된 현실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일간지가 생산한 개신교 담론을 구성주의 관점으로 접근한다. 특히 사회구조적 변동으로써 한국적 상황을 세계화(Globalization)론으로 바라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간지 사설의 내용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하여 21세기 한국 상황에서 사회와 개신교의 관계성을 성찰하는 것이다. 사회언론이 생산하는 한국 개신교 담론에 대한 분석적 고찰은 사회와의 건강한 소통을 위한 기초 작업이며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의 실천적 역할과도 연결된다. 최근 18년간(2004~2021) 일간지 사설이 생산한 한국 개신교 담론을 분석한 결과 한국사회와 한국 개신교의 상호충돌적 만남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ligious discourse produced by the daily newspapers can be viewed as a ‘social-relationship’ discourse rather than a religion’s ‘faith-identity’ discourse. As a social relationship discours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 (Protestantism) discourse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structural changes in South Korea. The public discourse produced by the media shows a reality that has been interpreted with specific values and standards on the premise of Spatio-temporal specificity rather than the actual social reality. This research approaches the Korean Church discourses produced by the daily newspaper from a social constructionism perspective. Moreover, the globalization theory is especially highlighted due to the social structural change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purpose i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century Korean situ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discourse analysis in Korean newspaper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Korean Church discourse produced by the daily newspapers over the past 18 years (2004-2021), it was found that various mutual conflicts betwee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were occurring.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시사점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애착 외상을 가진 내담자의 정신화를 위한 통합적 심리치료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무용 전공 대학생의 창의력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에 대한 학습스타일의 매개효과 탐색
- 예비 목회자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 동기의 관계 연구
- 노인의 아동기 외상 경험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험 회피와 고독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