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병인의 노동실태와 직업교육훈련
이용수 126
- 영문명
- Work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Health Care Worker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일경상학회
- 저자명
- 김삼수(Sam 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일경상논집』제69권, 97~12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서 간병인은 대표적인 돌봄노동자로서 병원에서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는 노령의 요양환자를 대상으로 일하고 있다. 이 논문은 병원의 공식적인 간호체계나 장기요양체계에서 소외되어 있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병원간병에 초점을 맞춰 간병인의 노동 및 숙련형성의 실태를 구명하고 간병노동의 제도화와 이를 위한 직업교육훈련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분석의 결과, 한국의 간병 노동시장은 전형적으로 저숙련의 외부 노동시장적 특징을 갖고 있는 점이 밝혀졌다. 간병인과 고객(환자·보호자)의 개별 계약이 지배적이며, 병원에서의 24시간 간병이나 가정에서의 입주간병이 일반화되어 있는 등 근로여건이 열악하고 이직률 또한 높다. 간병인에 대한 교육훈련은 체계적이지 않으며 매우 미흡하다. 국가 공인의 요양보호사 자격은 간병직에 대한 배타적인 입직조건으로서 역할하고 있지 못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먼저 일본에서와 같이 유료의 병원간병을 금지하여 간호체계에 편입하고, 그에 수반하여 병원 측이 체계적인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재가간병 서비스에 의한 가정간병의 사회화를 확대시키는 방향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담당할 고숙련의 전문직으로서 요양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행 요양보호사 위에 상위의 자격을 도입함과 더불어 경력경로 설정을 통해 요양보호사 자격제도를 확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South Korea, health care workers are working for inpatients in hospitals as well as for gerontic patients at homes. This paper investigates actual state of care workers` working conditions and skill formation, and draw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izing care work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system, focusing mainly on the hospital health care worker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formal nursing system and the long-term gerontic care insurance system.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made clear that labour market of health care workers in South Korea has typical characteristics of external labour market: individual contracts, 24 hours work system in the hospitals as well as at home, underskilled workers and very high turnover rate. Systematic VET for care workers has not been provided in the hospitals. National certificate of care worker does not play a role as an exclusive entry requirement. Two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hospital health care should be included in the hospital nursing system, and more systematic VET is to be developed by the hospitals. Second, a policy for setting multi-ladder career paths for care workers by introducing higher ladder certificates is suggested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amount of high skilled care workers as professionals.
목차
Ⅰ. 서론: 과제와 방법
Ⅱ. 간병인 노동시장과 노동실태
Ⅲ. 간병인의 직업교육훈련 실태
Ⅳ. 일본의 간병 및 개호 체제와 직업교육훈련
Ⅴ. 결론: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