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0년도 형사소송법 판례 회고
이용수 52
- 영문명
- Review of the Criminal Procedure Precedents of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20
- 발행기관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 저자명
- 강동범(Kang, Dong-Beom)
- 간행물 정보
- 『형사판례연구』형사판례연구 제29권, 539~593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9,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riminal Procedure Precedents of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20. In chapter 2 I discuss the admissibility of Blue-House Documents which are submitted to prove the criminal liability of the chief presidential secretary during the period of the last president. These documents have been produced to appellate court by the Blue-House staffs who discovered those documents in the computer and cabinet accidentally. The Supreme Court Judgment(2020.1.30. 2018do2236 en banc) declared that the documents are admissible. But I don’t agree with the conclusion because I wonder if those documents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due process. The precedents relating to investigative procedure are reviewed in chapter 3. I consent to the Supreme Court’s judgment that voluntary accompaniment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 will be permitted solely upon voluntary intention of the suspect. And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connection with the relevant case as one of the requirements of seizure and search is objective connection with facts of suspicion and personal connection with criminal suspect. There is an argument whether seizure without warrant at the locus of the arrest of flagrant offender is allowed. The Supreme Court agrees this topic and I also do. I examine the precedents of the evidence and appeals in the 4. chapter. The Supreme Court pronounces that any evidence obtained in violation of the due process shall not be admissible in principle, but exceptionally may be used as evidences. But I propose when serious illegality is in obtaining process of evidence, the evidence should be excluded. And I deal with the precedent as to joint penal provisions and article 312 of Criminal Procedure Act In the last chapter I review the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related to the defense counsel s participation right in the interrogation of the suspect, pronouncement of judgment in case of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 of penal provision, and disposition concerning confinement(Article 417 of Criminal Procedure Ac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전원합의체 판결
Ⅲ. 수사절차
Ⅳ. 재판절차(증거와 상소)
Ⅴ. 그 밖의 판결
키워드
사건과의 관련성
양벌규정과 형사소송법 제312조
위법수집증거
헌법불합치결정
임의동행
체포현장에서의 영장 없는 압수
Connection with the Relevant Case
Joint Penal Provisions and Article 312 of Criminal Procedure Act
Illegally Obtained Evidence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
Voluntary Accompaniment
Seizure without Warrant at the Locus of the Arrest of Flagrant Offender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년도 형사소송법 판례 회고
- 특정범죄가중법 제5조의4의 성격 및 해석에 관한 판례 법리
- 점유개정의 방식으로 양도담보가 설정된 동산을 임의로 처분한 채무자의 형사책임
- 공소제기 후 작성된 ‘증인예정자 진술조서’의 증거능력
- 부진정부작위범에서의 ‘동가치성’
- 직권남용행위를 집행한 하급 공무원의 면책범위
- 2020년도 형법판례 회고
- 알코올 블랙아웃과 ‘심신상실’
- 위계 간음죄에서 위계의 대상과 인과관계
- 아동․청소년 위계간음죄
-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아동·청소년 이용음란물)의 제작
- ‘성인지 감수성’에 관해 판시한 대법원의 성범죄 형사판결에 관한 소고
- 명예훼손죄의 ‘공연성’ 의미와 판단 기준
- 사전자기록위작죄에서 ‘위작’의 개념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