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재범위험성평가도구의 도입가능성과 규범적 문제점

이용수  193

영문명
A study on a increasing need to introduce the AI recidivism risk assessment and normative questions
발행기관
한국형사정책학회
저자명
장진환(Jinhwan Chang)
간행물 정보
『형사정책』刑事政策 第34卷 第1號, 41~7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효율성과 비용절감을 무엇보다 중요시하는 사회전반적인 흐름과 인공지능에 대한 전폭적인 국가지원의 흐름을 감안해 보면, 형사정책의 영역에서도 앞으로 인공지능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른 영역에서처럼 점점 높아져 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현재의 재범예측도구와 비교하여 인공지능재범예측도구가 도입될 실익이 있는지, 그리고 만약에 도입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인공지능재범예측도구는 아직은 재범예측의 정확성측면에서 현재의재범예측도구에 비해 뛰어나다고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장래에 빅 데이터들의 수집량이 늘어나고, 이를 통해 신빙성이 높은 훈련데이터들이 점점 더 확보된다면, 같은통계적 방식에 기반하고 있는 현재의 재범예측도구보다 우수한 정확도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보안처분의 선고와 관련해 인공지능재범예측도구의 결과를 사용할경우, 이는 사실관계의 확정과 관계가 없으므로 증거능력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것이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통해 도출된 재범위험성 평가결과의 불투명성과 설명 불가능성, 검증 불가능성으로 인해 헌법 제27조에서 보장하는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는 침해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재범예측도구가 도입된다면, 이러한 재범예측도구가 가지는 정확성은 법관의 직관적인 판단보다 우수하다고 판단되므로 법관이 이 결과를 반드시 공판과정에서 고려하도록 법률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이경우에도 법관의 독립성과 특수한 지위로 인해 법관이 이러한 판단결과에 강제적으로 구속될 필요는 없다.

영문 초록

Currently the Kore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s a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various fields. The importance of AI is on the rise, considering the social perspective which highly values efficiency as well as cost reduction. The criminal policy is no exception to this trend.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wo significant issues: i) the potential and effectiveness for AI recidivism prediction tool in comparison with the current prediction tool of the recidivism risk and ii) possible legal issues in the case of AI utilization. With respect to the predictive accuracy, it cannot be affirmed that recidivism prediction tool using AIis superior to the current assessment tool. However, extensive collection of big data and reliable training dataset will lead to more accurate prediction results of the recidivism prediction tool based on the AI technology comparing with the current estima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cidivism prediction tool using AI for the decision of safety measure, problems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do not occur because there exists no relationship with a legal determination of fact relevance. However, the right on a fair trial is infringed in Article 27 of the constitutional law since the results of the recidivism prediction tool using AI have an opacity as well as feature that defies explanation and verification. In order to introduce the recidivism prediction tool using AI, the law should certainly be amended for the application of AI predictive results in a trial procedure, because it is assessed that the accuracy of predictive recidivism assessment tool is higher than that of intuitive determination by the judges. However, judges should not absolutely depend on this AI predictive assessment results due to their independency and specific position.

목차

Ⅰ. 서론
Ⅱ. 인공지능재범위험성평가도구의 도입가능성에 대한 검토
Ⅲ. 인공지능재범위험성평가도구의 규범적 문제점에 대한 검토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진환(Jinhwan Chang). (2022).인공지능재범위험성평가도구의 도입가능성과 규범적 문제점. 형사정책, 34 (1), 41-77

MLA

장진환(Jinhwan Chang). "인공지능재범위험성평가도구의 도입가능성과 규범적 문제점." 형사정책, 34.1(2022): 4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