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수업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만화짓기 활동의 효과 연구
이용수 38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toonmaking activities using digital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소연(Choi, So-Yun) 김혜련(Kim, Hye-Ryu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8권 1호, 33~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toon-making activities using digital storytell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affective domains, and creativity. To this end, twenty two students in 6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 course of their regular English lessons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In the ‘creating a story’ phase, the students engaged in cartoon-making activities, and in the ‘digitalizing’ phase, they added their voices to the cartoon charac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toon-making activities using digital storytelling, which focused on English productive skill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peaking and writing abilities. Second, in the affective domains, the students who engaged in cartoon-making activities showed increased interest,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in learning English. Third, the overall creativity of learners improved through cartoon-making activities using digital storytelling, and the activities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divergent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ovid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영어 수업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만화짓기 활동의 효과 연구
- 아동 대상 파견 영어교사의 교수 동기와 탈동기 연구: 코로나-19 이후를 중심으로
- 온라인 다독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전략 및 태도 분석
- 애플리케이션과 플랫폼을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쓰기 학습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 인식과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초등영어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 초등학생의 조기영어교육 실태 연구
- 초등 영어 교사의 감정노동
- A Synthesis of Research on Policies for Developing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Expertise
- 초등 영어 다독 활동의 효과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