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논문] 동인제 영화제작과 영화 <표류도>
이용수 6
- 영문명
- Film Making in Donginje method and Film ‘Drifting Island’
- 발행기관
- 근대서지학회
- 저자명
- 한상언(Han, Sang eon)
- 간행물 정보
- 『근대서지』제22호, 792~817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문헌정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2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동인제 방식으로 제작된 박경리 원작 <표류도>의 영화제작 과정과 영화 속 주인공 현희 역을 맡은 문정숙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1959년 연간 한국영화 제작편수가 100편을 넘기면서 많은 수의 영화를 제작하던 군소 영화회사들이 흥행부진으로 정리되어 갔다. 이를 대신하여 동인제 영화제작 방식이 도입된다. 1960년 이광수 원작의 <흙>을 제작하여 큰 성과를 냈던 제작진들은 동인제 방식으로 영화를 제작하기로 했고 박경리 원작 <표류도>를 영화로 만들기로 결정한다. <표류도>의 제작은 문정숙의 스타덤에 기댄 측면이 크다. 문정숙의 남편인 기획자 장일은 문정숙의 이미지에 어울리는 원작을 선택하였으며 이렇게 선택된 <표류도>는 문정숙이 연기한 현희를 중심으로 주변 인물들이 현희와 관계 맺는 상황을 통해서 현희의 성격과 현희의 가치관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은 1960년 무렵 추진되었던 여배우를 중심으로 한 동인제 방식의 영화제작을 보여준다는 면에서 흥미로운 텍스트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asts light on the filmmaking process of Park Kyung-ri’s novel ‘Drifting Island’, which was produced in Donginje method, and Moon Jeong-sook, who plays the lead character Hyun-hee in the fi lm. Th e number of Korean domestic fi lms produced annually exceeded 100 in 1959 and small fi lmmakers that used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fi lms were restructured and downsized due to failure to attract the viewers.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the Donginje fi lmmaking method was introduced. Th e production team who made a great success by turning Lee Kwang-soo’s novel “Soil” into a fi lm in 1960 decided to produce a fi lm adapted from Park Kyung-ri’s novel ‘Drifting Island’ in the same manner. Th e production of ‘Drifting Island’ was dependent heavily on actress Moon Jeong-sook’s stardom. Jang Il, Moon’s husband and the planner, chose ‘Drifting Island’ as a novel that best suits the personal image of Moon Jeong-sook. Th e fi lm reveals the characters and sense of value of Hyun -hee played by Moon Jeong-sook through the circumstance where the surrounding people relate to Hyun-hee. Th is fi lm is an interesting attemp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fi lmmaking process in Donginje method popular around 1960 centered on a particular actress.
목차
1. 서론
2. 1950년대 동인제 영화회사의 등장
3. 박경리 원작 「표류도」의 영화화
4. 배우들의 경연장이 되어 버린 <표류도>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어둑어둑한 해변
- [자료] 멧 마듸 外
- [사회력사 서지] 최남선과 요시다 토고의 알려지지 않은 사귐
- [사회력사 서지] 식민지 시기 일본어 조선교육잡지에 대한 서지연구
- [시] 산조 저 김좌진의 딸
- [발간사] 울력으로 빚은 천 쪽의 선물
- [사회력사 서지] 京城帝國大學第三次蒙疆學術調査隊報告(油印本)에 대하여
- [자료] 故吉田東伍博士
- [사회력사 서지] 새롭게 발굴된 명륜학원 관련 사진들
- 근대서지 제22호 목차
- [시] 어떤 세배
- [일반논문] 극작가 김영보(金泳俌)와 희곡 <가을>의 작품세계
- [화보] 『청마시초』 外
- [자료] 한국 아동문학 형성기의 점경(點景) 『신소년』과 『별나라』(下)
- [문학예술 서지] 이광수의 새 자료에 관하여
- [출판매체 서지] 모색과 실천, 그 도정의 출발선상에서
- [아동문학 서지] 『주간소학생』에 수록된 김용환의 만화 「흥부와 놀부」
- [일반논문] 북한미술, ‘항미원조’를 그리다
- [자료] 보통학교 과외잡지 『목마』 창간호 소재 일본어 자료 번역 소개
- [자료] 『소년조선일보』 아동문학 목차 정리
- [자료] 희곡 가을(입력본)
- [일반논문] 동인제 영화제작과 영화 <표류도>
- [일반논문] 리원우 연구를 위한 실증적 바탕
- [문학예술 서지] 서울교향악단 기관지 『필하아모니』 제2호의 해제
- [일반논문] 김용준 著 『단원 김홍도』 해제
- [자료] 『아희생활 / 아이생활』 목차 정리(2)
- [사회력사 서지] 1938년 조선권번 소속 476명의 기생 일람표 연구
- [출판매체 서지] 김소운이 주재한 아동잡지의 소개와 『목마』 창간호
- [북한 서지] 『평화와 친선』 해제
- [출판매체 서지] 광주에서 발행된 『신문화』의 발간과 고찰
- [산문] 『獨立新聞』 시절
- [산문] 1944년경의 이야기 |
- [자료] 『근대서지』 창간호~제21호 분야별 총목록
- [문학예술 서지] 경성제국대학 학생의 민요 수집 보고서
- [아동문학 서지] 초창기 번역동화집 『금방울』과 『사랑의 선물』 표지 이야기
- [일반논문] 1950년대 말~1960년대 초 북한 과학원의 구전
- [일반논문] 1960년 그림책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형상화 양상
- [북한 서지] 『국제민주여성연맹대회 문헌집』 해제
- [시] 풀잎 위를 걷다
- [북한 서지] 1950년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평화 담론, 그리고 임학수(림학수)의 번역
- [문학예술 서지] 옛날 노래책에 빠지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BEST
- [文學 書誌] 카프 비평가 출신 월북 작가의 해방과 전쟁 형상
- [一般論文] 한성도서주식회사의 출판활동과 식민지 책시장의 역학
- [企劃論文] 근대 초기 딱지본 표지화에서 보이는 중국 도상 연구
복합학 > 문헌정보학분야 NEW
- [卷末資料ㆍ影印] 해방기 잡지 목차 정리 ⑧-‘치읓’ - ‘히읗’으로 시작하는 잡지들
- [文學書誌] 유소혜(劉⼩蕙)가 중역한 가린 설화집 『조선 민간고사』(1932) 고찰
- [화보] 『조선체육계』 外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