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여성 대상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중재 연구 분석
이용수 22
- 영문명
- Music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Korean Women: Research Analysis Focusing on a Feminist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경(Lee, Seong-Kyung) 김지혜(Kim, Aimee Jeehae)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15권 제1호, 69~9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심리정서 지원을 목적으로 진행된 국내 음악중재 연구를 여성주의 관점 음악치료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2002년 이후 게재된 논문 34편을 최종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 중재 특성 및 여성주의 관점 음악치료의 특성에 따라 연구 대상과 중재 내용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 연구 대상자가 정신질환 여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에 반해 최근에는 현시대의 사회 문제를 반영하여 직장여성, 결혼이주여성, 유학생 등으로 그 범위가 다양해진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여성주의 관점 음악치료의 특성에 따른 내용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대상은 사회 정치적 관점이 반영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내용은 여성의 내적 역량 강화를 중요하게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음악중재에서 여성들의 내적 역량 강화를 통해 심리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이다. 추후 국내 여성 대상 음악중재 연구에서는 사회 내 성차별 및 성역할에 대한 탐색과 치료 안팎의 협력을 통해 여성 개인의 변화에서 나아가 사회 변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주의 관점 음악중재가 국내 여성 대상 음악중재 임상 및 연구에 적용되어야 하며,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usic therapy studies supporting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needs of Korean women according to a feminist perspective in music therapy. A total of 34 studie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and characteristics of a feminist perspective.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focus was initially on subjects who suffered from mental illness and that more recently the focus has shifted to include more diverse subjects, such as career women, women who migrate for marriage, and women who study abroad, and to reflect contemporary social issues. In terms of a feminist perspective, the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emes as the characteristics of a feminist perspective: empowerment, soci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cooperativity, egalitarianism, and diversity. Results showed that social and political viewpoints were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that empowerment was reflected mostly in the contents of interven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incorporate a feminist perspective in more diversified music therapy practices to bring social changes as well as individual changes for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