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Pollinating Insects to Improve Seed Production of Buckwheat in Net House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김수정(Su Jeong Kim) 손황배(Hwang Bae Sohn) 남정환(Jeong Hwan Nam) 이종남(Jong Nam Lee) 서종택(Jong Taek Suh) 장동칠(Dong Chil Chang) 김율호(Yul 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5권 제1호, 10~2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field data to understan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ollinating insects and
buckwheat flowers. We set the in-situ observation sites in different locations to get altitude and cropping system distribution data for five years (2016 to 2020) in Korea. Twenty-five different insect species, belonging to 8 orders, were recorded. Over the past five years, species from the orders Diptera and Hymenoptera were the principal visitors. Hymenoptera was mainly represented by honey bees (Apis cerana), while Diptera was represented by bean seed fly (Delia platura) and several other species. Some bees and other Hymenoptera species could, however, act as co-pollinators because of their high relative frequency and activity. Compared with open-field cultivation (conventional), the pollination mediating effect of flies and bees was superior in net house, so the yield was high, and it was also found to be slightly higher in the mixed treatment of flies and bees than in the single treat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flies and bees were found to be the most active pollinating insects in buckwheat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 selected insects to improve buckwheat productivity. This relationship will be utilized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eed production on pollinating regulation of a primary plant.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산향유 유묘 생장에 미치는 파종용기, 토양조성, 파종량, 추비조건의 영향
- 들깻잎의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 함량과 항산화 활성 비교를 통한 우수 유전자원 선발
- 전남 동부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서양쐐기풀
- 동아시아 특산식물 애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ex Siebold & Zucc (Moreaceae) 종자의 발아특성
- 메밀의 망실재배시 종자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분곤충의 선발과 활용법 구명
- 팔봉산(충청남도, 서산시) 관속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성
- 논둑에서의 식물기생성선충 발생 실태
- 관매도의 식물상
- DMZ와 인접한 마산(강원도 고성군)의 관속식물 분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