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로의 안전한 정착을 위한 선행과제
이용수 303
- 영문명
- A Study on Precedence Tasks for the Saf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to South Korean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조성희(Cho, Seong Hee) 김정귀(Kim, Jeung-Kwi)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20券 第5號, 215~24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사회의 한 축을 구성하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착・통합하기 위해서는 신변보호는 물론이고 안정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정부의 지원제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북한이탈주민들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첫째, 경제적으로는 생계급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여성 고령 북한이탈주민은 매우 열악한 수준에서 생활하고 있다. 둘째, 건강 관련 지식과 정보 부족, 의료문화의 차이 등으로 의료기관을 불신하고 민간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셋째,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성공적인 남한사회로의 적응 가능성이 높은 반면 청소년기의 정체성 혼란과 함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넷째, 노인들은 입국 당시의 취약한 상황이 노화와 단독 입국인 경우가 많아 더욱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여성들은 생존전략으로 선택한 결혼으로 북한, 중국, 남한에서의 가족 해체와 재구조화의 복잡한 관계와 함께 외로움, 죄책감 등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지원체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종교기관과 사회적 관계망 등을 중심으로 한 민간영역의 역할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상자별 특성에 부합되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North Korean defectors hope to be able to lead a stable daily life as a member of South Korean society as well as personal protection. However, despite various government support systems, many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mplaining of difficulties.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mplaining of difficulties arising from poor economic level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edical environment due to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knowledge, information, and medical culture, and complex family relations caused by dismantling and restructuring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Therefore, it is hoped that a customized support system can be established that matches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centered on religious institutions and social networks that can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Ⅲ.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
Ⅳ. 북한이탈주민이 호소하는 어려움
Ⅴ.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기반시설 물리보안 통합형 평가지표 타당화 연구
- 코로나19에 따른 사이버 범죄의 변화
- 남북연합과 남북 형사사법 협력에 대한 연구
-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범죄학적 고찰
-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지방자치단체 교통안전 지원정책의 주민 만족도 결과 분석
- 북한의 사이버테러 조직의 역량 평가 고찰
- 스토킹 범죄의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로의 안전한 정착을 위한 선행과제
- 변혁적 리더십, 보안정책 준수의지, 보안성과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실시간 안면인식 기술에 대한 수용성 연구
- 남성경찰이 여성경찰과 지식을 공유하는 수준 및 영향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