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Counseling Curriculum in Communication Disorde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백경랑(Kyungrang Baik) 임성희(Sunghee Lim) 정하은(Haeun Chung) 전지혜(JiHye Cheon) 모경옥(Kyengok Mo) 이은주(Eunju Lee) 김영태(Young Tae Kim) 임동선(Dongsun Yim) 성지은(Jee Eun Sung) 심현섭(Hyun Sub S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4, 975~9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임상현장에서 언어재활사들은 효과적인 언어재활을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나, 상담 교육의 부재로 상담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학교에서의 상담 교과목 개설·운영 및 임상현장에서의 상담 교과목 이수 실태를 알아보고, 교수진과 언어재활사들의 상담 교과목의 필요성 인식을 알아보았다. 방법: 언어재활 관련 학과 교수 66명(대학교 37명, 대학원 29명)과 언어재활사 121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상담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비율은 대학교 66.7%, 대학원 26.9%로 교과목은 대부분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되며,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한 경우는 대학교 9.5%, 대학원10.0%로 나타났다. 언어재활사의 29.8%는 재학 중 상담 교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으며, 학교 외 기관에서 상담 교과목을 수강한 언어재활사는 18.8%로 나타났다. 상담 교과목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교수는 66.7%, 대학원교수 55.6%로 나타났다.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봐도 상담과 관련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재활사의 경우 3-5년차 1급 언어재활사들이 ‘재학 중 상담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영역별로 필요성을 느끼는 영역은 언어발달장애 25.4%로 많았으며, 신경언어장애와 유창성장애는 언어재활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게 상담 교과목의 개설의 필요성을 평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교수와 언어재활사들 모두 임상현장에서 상담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체계적이고 적절한 상담교과목의 시행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ounsel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trea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Clinicians and students in the field have reported a necessity for the incorporation of counseling courses into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 counsel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and to present the professo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SLP) perceptions of the counseling curriculum. Methods: A web-bas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and need for the counseling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professor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nd to SLPs in clin-ical settings. Responses from a total of 66 professors and 121 SLPs were collected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verall, 66.7% of undergraduate programs and 26.9% of graduate programs offer a counseling course within the department. Also, 100% and 85.1% of professor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reported the need for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respectively. A strong ma-jority of SLPs (95.7%) also felt counseling courses are needed. By clinical areas, SLPs work-ing in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s reported the highest need (25.4%) for counseling courses, followed by neurological disorders and fluency disorders.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eed for counseling programs was high among professors and clinicians. Thus,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and adequate counsel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is suggest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격 및 대격 명사구 제시 유형이 노년층의 문장처리에 미치는 영향: 시선추적 연구
- 진동시뮬레이터와 디지털 카이모그래피를 이용한 반폐쇄성도운동 시 성대진동의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위한 AAC 부수어휘 조사
- 우측 측두-두정엽 뇌출혈 후 발생한 교차 실어증 1예
- 언어학적 증상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하위유형별 위험요인
- 일반 노인의 유명인 이름대기 과제에서의 설단현상 특성
- 자녀의 말더듬에 대한 양육자 태도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 읽기장애 아동의 한글 단어 해독 특성
- 부모 교육이 보완대체의사소통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초등 3-5학년 어휘발달지연을 동반한 ADHD 아동과 단순 ADHD 아동의 설명담화 읽기이해모니터링 능력
- 한국어 어순 선호와 성분 길이 효과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EPG 왜곡 과제에 대한 예비 및 현직 언어재활사들의 청지각 능력
-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의 어휘능력 종단연구
- 한국어판 노인의 의사소통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 의사소통장애 상담 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 성별에 따른 정상 및 음성장애 노인 화자의 음성관련 삶의질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