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됨 이후 부정적 변화, 사회적 차별, 공·사적 지원과 미취학자녀를 둔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이용수 666
- 영문명
- Associations of Hardship Chan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Public and Social Support with Parenting Stress among Single Parents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가족정책학회
- 저자명
- 성미애(Miai Sung) 진미정(Meejung Chin)
- 간행물 정보
- 『가족정책연구』제1권 제2호, 75~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1.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한부모가 인식하는 한부모됨 이후 부정적 변화, 사회적 차별, 공적 지원 및 사회적 지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2018년 한부모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남녀 한부모 345명 자료를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척도의 중간 값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으며, 한부모가 된 이후에 경험한 어려움도 중간값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한부모가족으로서 부당한 일이나 차별을 경험한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가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나 한부모가족지원제도 등의 공적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가 일상적인 상황이나 긴급한 상황에서 동원 가능한 사회적 지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됨 이후 가중된 어려움과 사회적 차별은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인 반면, 사적 지원은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적 지원은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ssociations of hardship changes, social discrimination,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upport with parenting stress among single parents.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Single Parent Families, we drew a sample of 345 parent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under age 7 and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hardship changes and social discrimin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public assistance was no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imply that public policy should seek to reduce intended or unintended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parenthood and increase the level of public assistance in order to effectively decrease the parenting stress of single parents.
목차
I. 서론 및 선행연구 고찰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