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Fish Community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
- 발행기관
- 국립공원연구원
- 저자명
- 고명훈(Myeong-Hun Ko) 송행섭(Haeng-Seop Song) 원종서(Jong-Seo Won) 박승철(Seung-Chul Park)
- 간행물 정보
- 『국립공원연구지』제12권 제1호, 77~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담수어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4과 37종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갈겨니(17.1%)였으며, 아우점종은 버들치(15.7%)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시붕어를 포함하여 7종의 한국고유종이 출현하였다.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순위풍부도 곡선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립공원 내 지역에서는 ‘Preemption’ 모형이, 국립공원 외 지역에서는 ‘Mandelbrot’ 모형이 각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산반도국립공원 어류에 대한 선행연구와 본 조사 결과를 종합한 결과 총 86종의 어류가 출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쌀미꾸리, 점농어, 쏘가리, 문절망둑 4종이 본 조사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영문 초록
Fish community structure of freshwater fish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were investigated over the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2018. Total 37 species caught during the period were belonged to 14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was Zacco temminckii (17.1%),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15.7%). And there were 7 Korean endemic speices including Rhodeus uyekii. In rank abundance curve analysis using fish community, expressed park inside were ‘Preemption’, outside were ‘Mandelbrot’, respectively. In addition,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on fish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86 species of fishes. In this study, 4 species Lefua costata, Lateolabrax maculatus, Siniperca scherzeri and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십각류 종목록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어류군집 분석
-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교육과정 중요도-성취도(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연구
- 국립공원 훼손지 조사 및 복원방안 체계 구축
- Aggressive behavior of the common snapping turtle (Chelydra serpentina Linnaeus 1758) towards the endangered Revees’ turtle (Mauremys reevesii Gray 1831) in captivity
- 일제강점기 문헌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국립공원의 시대적 상황 고찰
- 한려해상국립공원 조류 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상대적 중요성
- 국립공원연구지 제12권 제1호 목차
- 무등산 주상절리대의 사면 안정성 평가와 모니터링 방안
-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특화자원을 활용한 탐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 장거리 이동 여우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특성 분석
- 지리산국립공원 사찰림의 식물상
- 사천지역 해조군집의 변동
- 분변 DNA 메타-바코딩을 이용한 반달가슴곰의 먹이원 분석을 위한 사전 연구
- 소백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평가
- 한국 한려해상국립공원 서부 조간대 저서다모류 동물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BEST
- 지리산국립공원 산림 탄소 흡수량 및 식생가치 기반 보호관리 우선순위 평가 연구
- 글로벌 보전 목표 성취를 위한 OECM 현황 및 특성 연구
- 국가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지자체 역할 고찰: 조례에 기반한 잠재 자연공존지역(OECM) 검토를 중심으로
자연과학 > 생물학분야 NEW
- GFPT1 regulates AMPK activity through enhanced O-GlcNAcylation
- Purification, crystallization, and X-ra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LA-like lipase 7 from Cordyceps militaris
- 한반도 미기록 외래식물: 애기황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