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진단을 위한 지능형 예측 시스템
이용수 103
- 영문명
- Intelligent Prediction System for Diagnosis of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정설령(Seol-Ryung Jung) 박경욱(Kyoung-Wook Park) 이성근(Sung-K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6권 제5호, 859~86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지 상부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농작물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모델이다. 최근 영농형 태양광 발전을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의 태양광 발전과는 달리 비교적 높은 구조물 상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유지 보수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운용 및 진단 기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설비의 전력 생산량을 수집, 저장하여 지능적인 예측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예측 및 진단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논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량과 환경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량을 예측하여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며 설비의 노화 정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영문 초록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a new model that installs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top of farml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crease farm household income by producing crops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Recently,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is relatively difficult because it is installed on a relatively high structure unlike convention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intelligent and efficient operation and diagnostic functions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ediction and diagnosis system to collect and store the power output of agricultural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implement an intelligent prediction model. The proposed system predicts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ased on the amount of solar power generation and environmental sensor data,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acility, calculates the aging degree of the facilit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태양광 발전 예측 시스템 설계
Ⅳ. 발전량 예측 알고리즘 및 예측 결과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화된 절차적 방법을 이용한 섬 3차원 모델링
- 완도 육상 해수 양식장과 조위관측소의 수질 환경 데이터 비교 분석
- 3D 프린터의 출력시간 단축과 재료소모량 감소를 통한 편의성 개선에 관한 연구
- SDN 환경에서의 서버 부하 임계치 경고를 통한 효율적인 부하분산 기법
- 교통사고 전후 동적 정보 제공 및 해제 전략
- CO2 센서와 체온 센서를 이용한 코로나19 방역 버스 쉘터
- AHP와 평점법 및 TOPSIS를 활용한 K계열 전차 성능개량 우선순위에 대한 연구
- 근적외선 분광법 기반 비침습식 혈당 검출 센서 시스템
- 드론 산업 활성화에 따른 항공기와 드론 간 공중 충돌 회피 시스템에 관한 고찰
- 셉테드(CPTED) 계획 수립을 위한 공간정보를 활용한 범죄취약성 평가
- CCN 실시간 서비스 간 이중 경로에 의한 중간노드 이동성 지원에 관한 연구
- 3D 프린팅을 활용한 전동식 재활용 웨어러블 로봇 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SP와 라즈베리 파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그리드 전력설비의 통신제어장치 설계 방법론
- 정보보안 기술스트레스가 스트레인을 통한 보안정책 저항에 미치는 영향
- K-9자주포의 자율주행 및 자주포 무인화 기술의 타당성 검토
- EV 파워트레인에서 IPMSM의 토크 제어를 통한 에너지 변환에 관한 연구
- 절차적 생성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갯벌 모델링
- 자가 학습 행동 분석 기반의 시니어 응급관리시스템
- YOLO알고리즘을 활용한 시각장애인용 식사보조 시스템 개발
- Exon-Intron이론을 활용한 상황중심 데이터 스트림 분할 방안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진단을 위한 지능형 예측 시스템
- SDN 환경에서 실시간 패킷 유형과 QoS 평가 기반한 효율적인 Load Balancing 기법
- 에너지신산업을 위한 에너지 빅데이터 전처리 시스템
- 국내 스마트공장 및 제조 데이터 표준 개발 동향
-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위한 접수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항적 신호 모의를 위한 다기종 모노스태틱/바이스태틱 레이다반사면적 분석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BEST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지속이용의도 결정요인 탐색
- AI 시대 대학 교양교육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인공지능의 역사, 분류 그리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NEW
- 유사도 기반 선별적 데이터 활용을 통한 차량 내 비전 시스템의 실시간 적응형 파인튜닝 기법 연구
- 멀티모달 센서 퓨전 기반의 실내 사용자 행동패턴 추출 방안
- 수학적 과제와 음악 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뇌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