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cquisition of English interdental fricatives by Mongolian speakers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저자명
- 유혜배(Yoo, Hyebae)
- 간행물 정보
- 『몽골학』제29호, 213~2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몽골인의 영어 습득과정에서 생기는 영어 치간 마찰음에 대한 자음대체 현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영어 치간 마찰음은 많은 언어에서 음소로 존재하지 않는 자음으로 습득 상 가장 어려운 자음으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몽골인의 발음에 대한 연구는 희박한 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1인의 몽골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발음 자료를 수집하고 최적성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몽골인의 발음 대체 양상은 다음과 같다. 화자의 모국어 배경에 따라 대체현상은 보통 [t]와 [s]-대체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몽골인은 그중 [t]-대체 현상을 보였다. 이전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몽골인은 자신의 모국어의 위계를 전이하여 영어의 출력형을 결정하는데 이때 가장 역할을 하는 것은 유표적인 마찰음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범어적인 제약이 라고 보았다. 또한 어말에 더 많은 대체 오류 현상을 보이고 유성음을 무성음으로 대체하는 현상은 위치상의 유표성에 근거하여 어말이 어두보다 유표적이고 유성음이 무성음보다 더 유표적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최적성이론의 틀에서 분석하였다. 몽골인의 중간언어에서 모국어 위계의 전이와 모국어나 목표어(영어)의 위계가 아닌 독일어와 같은 위계가 나타나는 점을 들어 모국어 문법의 전이와 범어적인 문법의 상호관계를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phoneme substitution patterns of English interdental fricatives in the interlanguage of Mongolian speakers. To this end, 21 Mongolian students in Korea were recorded reading aloud a passage, a dialogue and 97 words. The findings are: 1) Mongolian subjects show a so-called [t]-substitution pattern in which interdentals are replaced by stops instead of fricatives. 2) The data revealed the positional markedness effects that word-final positions incur more errors. 3) Voiced dental interdentals show an asymmetric pattern in that they are replaced by voiceless stops word-finally, while being replaced by voiced stops in other positions. These patterns are accounted for within the Optimality Theory. This study offers insights into Mongolian interlanguage grammar yielding a unified account of transfer and markedness effects.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ethods
4. Results
5. Analysis of phoneme substitution of interdental fricatives
6.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몽골 민속연구 20년
- 할하몽골어의 한어차용 소고
- 한국의 현대 몽골어 연구 20 년
-
와 <몽골秘史>에 등장하는 王名과 官職名 考察 - 한국-몽골 경제협력 20년
- Acquisition of English interdental fricatives by Mongolian speakers
- Монгол аман зохиолын төрөл зүйлийн онцлог, шинэ олдвор
- 몽골의 친환경적 사상에 대한 역사적 고찰
- Comparative Study of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Mongolia and Korea
- Эртний түрэг, уйгурын үеийн зарим нэр, цолыг зөв бичих тухайд
- 한·몽 수교 20년간 음악문화 교류
- 몽골 지역 석인상의 기원과 요하문명(遼河文明)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