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술제대 결심수립 지원 인공지능 학습방법론 연구

이용수  231

영문명
A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el to Support Military Decision Making: Focused on the Wargame Model
발행기관
한국시뮬레이션학회
저자명
김준성(Jun-Sung Kim) 김영수(Young-Soo Kim) 박상철(Sang-Chul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제30권 제3호, 1~9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장에 있는 지휘관과 참모들은 상황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휘결심을 통해 군사 활동을 수행하는데,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과 함께 지휘결심을 지원하는 인공지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강화학습에 필요한 학습 data set의 식별, 수집 그리고 전처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전술 C4I 체계에 저장된 적 data는 정확성, 적시성, 충분성 측면에서 인공지능 학습 data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 data를 수집하고 훈련 시킬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육군의 워게임 훈련 모델인 ‘창조 21 모델 훈련 data’를 활용하여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 범위는 군사결심수립과정과 연계하여 인공지능의 역할과 범위를 구체화하고, 그 역할에 맞추어 인공지능을 훈련 시키기 위해 창조 21 모델 연습 data를 활용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공개가 제한되는 군사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상의 sample data를 제작하였고, 공개가 제한되는 대한민국 육군의 교리는 인터넷에서 수집 가능한 미군 교리를 활용하였다.

영문 초록

Commander and staffs on the battlefield are aware of the situation and, based on the results, they perform military activities through their military decision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deman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support military decisions has increased. It is essential to identify, collect, and pre-process the data set for reinforcement learning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data on enemies lacking in terms of accuracy, timeliness, and abundance is not suitable for use as AI learning data, so a training model is needed to collect AI learning data. In this paper, a methodology for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was presented using the constructive wargame model exercise data. First, the role and sco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support the commander and staff in the military decision-making process were specified, and to trai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role, learning data was identified in the Chang-Jo 21 model exercise data and the learning results were simulated. The simulation data set was created as imaginary sample data, and the doctrine of ROK Army, which is restricted to disclosure, was utilized with US Army’s doctrine that can be collected on the Internet.

목차

1. 서론
2. 배경 지식
3. 에이전트별 모델링 및 학습방법
4. 결론 및 향후 연구계획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성(Jun-Sung Kim),김영수(Young-Soo Kim),박상철(Sang-Chul Park). (2021).전술제대 결심수립 지원 인공지능 학습방법론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30 (3), 1-9

MLA

김준성(Jun-Sung Kim),김영수(Young-Soo Kim),박상철(Sang-Chul Park). "전술제대 결심수립 지원 인공지능 학습방법론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30.3(2021): 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