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1세기 한국사회와 노인목회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
이용수 19
- 영문명
-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and New Tasks and Directions for Pastoral Care to the Older Generation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준(kimjeongjoon)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50집, 155~199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1세기 글로벌 신자유주의시대의 한국사회에서 배제와 소외의 그늘에서 곤란을 경험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교회 목회의 과제와 방향에 대하여 탐구한다. 연구자는 21세기 세계화시대의 주요 사회문화적 트렌드를 네 가지 주제, 신자본주의: 하류노인, 뉴 테크놀로지: 미디어 소수자, 포스트모더니즘: 전통과 권위의 해체, 탈종교시대: 영성의 추구 등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21세기 한국교회의 노인목회가 지향해야 할 과제와 방향을 세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고독에서 연대를 지향하는 목회이다. 그것은 노인들의 고독한 삶을 연대를 통하여 창조적인 삶으로 나아가도록 인도하는 목회이다. 둘째, 절망에서 희망의 삶으로 전환하도록 돕는 목회이다. 노인들은 자신들의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 한계성으로 인하여 낙심과 절망에 빠지기 쉽다. 그러므로 21세기 노인목회는 신앙 안에서 절망에서 벗어나 절대 희망으로 안내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노인들의 삶을 ‘수동적 생존’에서 ‘참여적 주체’로 전환하도록 돕는 목회이어야 한다. 21세기 한국사회의 호모 헌드레드시대의 상황에서 노인목회는 그들이 단지 오래 사는 것보다는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과제와 방향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new tasks and directions for pastoral care in Korean society for the older generations suffering from exclusion and alienation under the global neo-liberalist system in the 21th century. The Researcher explores four topics, neo-liberalism: the lower classes older, new technology: the minority of media, postmodernism: deconstruction of tradition and authority, era of post-religion: and the pursuit of spirituality, which are found important socio-cultural trends in our times. In this context, researcher suggests a number of ideas concerning pastoral care for the old generations in the 21th century, and to give three suggestions for Korean churches: First,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s in context of a global neo-liberalist system intended to live from loneliness to solidarity. It means that pastoral care should help the old generations’ solitary lives change into creative and fulfilling life through solidarity with each other. Second,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s in a global neo-liberalist system aiming to change from despair to hope. Many elderly have an aptitude for discouragement and despair due to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limitations. Pastoral care for older generation should aim to guide and help them escape from despair to pursue absolute hope in our spiritual life. Third, Postmodern society in Korea, pastoral care for the elderly should help them not to live in a ‘passive survival mode’, but rather in an ‘active participative subject mode’. Most of all, situations of homo hundred era of Korean society, pastoral care for the older should help them live significant and meaningful lives rather than simply long one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한국의 사회적 과제로서 노인문제
III.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노인문제
IV. 21세기 기독교 목회 패러다임의 변천
V. 한국교회 노인목회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무신론의 현상과 종교성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 칼빈의 화목(Reconciliation)의 신학이 기독교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 청소년을 위한 세례교육의 갱신 모델 연구
- 영적 지도의 ‘반구조’(anti-structure)적 특성에 대한 연구
- 플립드 러닝 수업 방식의 기독교 교양수업에의 적용 사례 연구
- 원격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집중 및 흥미 수준에 대한 연구
- 노인빈곤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 북한인권 문제와 통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기도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접근
- 21세기 한국사회와 노인목회의 새로운 과제와 방향
- 아미쉬의 신앙과 삶이 현대에 주는 메시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Returning to the God-Talk after Atheism: Levinas and Bonhoeffer
- A Study on Kim Chai Choon’s Understanding of Religion
-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43 Cont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