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에 관한 고찰
이용수 28
- 영문명
- Competence-Based Education in light of Christia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장화선(Hwa Seon Chang)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43집, 109~1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이 학습자의 ‘역량’ 혹은 ‘능력’ 배양에 초점을 두는 역량 중심 교육으로 나아가고 있는 시점에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는 역량 중심 교육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선 역량과 생애역량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어서 역량 중심 교육의 배경과 근거를 서술하고자 한다. 역량 중심 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학적 관점에서의 논의는 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과 역량 중심 교육의 근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논의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 교육의 기독교적 논의는 학습자,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교육 목표로서의 가치 그리고 교육방법으로, 이와 더불어 역량 중심 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논의는 평생학습과 교육의 책무성을 서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이 역량 중심 교육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기독교대학의 기독교교육과 및 관련학과는 기독교적 인간관에 근거하여 학습자를 이해하고 지식의 원천을 성경에 기초하고 최우선의 가치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영화롭게 하는 것에 두며 교육 방법으로 성령님의 사역을 인정하여야 한다는 관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Competence-based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To expound upon this theme, the con-cepts of competence and life competence will be discussed,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the socio-cultur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We will divide our discussion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in light of Christian education into two main categories:, knowledge-based society and human capital theory. The grounds of socio-cultur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re further delineated into life long learning and the accountability of education. Discourse on Competence-based education in light of Christian education is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that is: the learner, knowledge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value as an educational aim, and educational methods. The discourse on Competence-based education in light of Christian education is described in two ways, those being life learning and accountability of education. In conclusion,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as influenced by Competence-based education concentrates upon the learner as the image of God, the Bible as the source of knowledge, pleasing and glorifying God as the aim of edu-cation, and the Holy Spirit as the key el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역량 및 생애역량의 개념
III. 역량 중심 교육의 배경과 근거
IV. 역량 중심 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 관점에서의 논의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여성과 기독교교육
- [특집]폭력 극복을 위한 생물학적, 평화교육적 단초
- 어린이의 관계적 영성에 대한 이해와 부모의 종교성과 양육태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특집]대학생을 위한 ‘회복적 정의’ 교과목 개발
- 한국 개신교 성서문자주의를 넘어서
- 교회학교 교사상의 패러다임 전환
- 교리문답의 교수학적 가능성 연구
- 기독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하나님 애착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서평]미래 세대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기독교교육
- 융의 종교심리학에 나타난 종교의 역할과 치유적 기능
- [특집]아동·청소년 폭력에 대한 전체적-예방적 대응 방안 모색
-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에 관한 고찰
- 질문생성 전략과 하브루타 신앙공동체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