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 미술창작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이용수 1,20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ocial Perception of Cre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t: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저자명
- 김원재(Kim, Won Jae) 이진우(Lee, Jin Woo)
- 간행물 정보
- 『예술경영연구』제59집, 5~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미술창작에 관한 사회적 인식 및 주요 담론을 분석하여, 인공지능 등장에 따른 예술계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공지능을 통한 창작원리와 한계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예술사회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미술창작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했다. 본고는 인공지능 미술창작 관련 기사 472건을 주요 자료로 삼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미술창작의 주체에 대한 혼재된 관점이 언어 네트워크상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재산권의 인정을 표상하는 단어군집의 지배적 영향력을 미루어보아, 인공지능을 미술창작의 주체로서 간주하는 관점 중심으로 사회적인식이 형성됨을 포착하였다. 또한 해당 군집과 제도적 지원을 반영하는 군집의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미술에 대한 핵심 담론이 기술 발전과 법적 체제정비에 한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로서의 인공지능의 규정및 장르로서의 인공지능 미술에 대한 정책적 담론 형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perceptions and discourses about creating art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making an implication of responding to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conceptually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creating visual ar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hilst this paper addresses ai art in the social context by borrowing the theoretical lens from the sociology of arts. This article considers 472 newspaper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s the main data, which are interpret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it is a controversial issue regarding who/which creates the artworks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However, judging from the dominant influence of a group of words representing the recogni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e have detected that social awareness is formed around the perspective of consid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es visual arts rather than artists. In addition,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luster and the cluster reflecting institutional support, we confirm that the discourse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s limited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legal system maintenance.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f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medium of art and constructing policy discours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s an artistic genr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및 논의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