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Does College Education Affect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Work Value and Major-job Fit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심우정(Shim, Woo-jeong) 하지영(Ha, Ji Young)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미래교육학연구 제34권 제2호, 155~1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청년층의 ‘어려운 취업-쉬운 퇴사’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의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요건으로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에 초점을 두었다. 이에, 대졸청년층의 대학교육경험이 내재적 직업가치관, 전공-일 일치도, 일자리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2019년에 조사된 한국고용정보원의 GOMS 2018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학 전공교육 만족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에서의 진로·취업교육 참여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내재적 직업가치관, 전공-일 일치도를 통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전공-일 일치도는 일자리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상기 연구결과에 터해 대학교육 차원에서 대졸청년층의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Noting the phenomenon, called tough entry, but immediate resignation among college graduates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as precursors for the job satisfaction, which possibly results in reducing early resignation. According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experiences, intrinsic work values, major-job fit,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KEIS’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8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college major education not onl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it through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Second, participation in career/vocational education at college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but the mediating effects through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rd, intrinsic work values and major-job 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colleg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