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very of Mass Changes in Antarctic Ice-Sheet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Model, RACMO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엄주영(Jooyoung Eom) 임형래(Hyoungrea R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3권 2호, 147~1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극 빙상의 질량 변화는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의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중력 자료와 광역 기후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남극 빙상 질량에 대한 시공간 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력 자료의 분석을 통해 연구 기간(2002.08-2016.08) 동안 지속적으로 남극 빙상의 심각한 질량 손실이 서남극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상대적으로 미약한 질량 증가가 동남극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질량 변동이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함께 확인하였다. 광역 기후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량 변동의 시간적, 공간적 패턴을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었으나, 관측 값에 비해 그 변화 폭이 매우 작았다. 이러한 문제는 빙하의 기저 유출량에 대한 조정을 통해 상당 부분 해결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재현된 빙상의 질량 변화는 2009년 이전 관측 값의 추세를 97%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빙하 흐름의 역학적 변동이 빙상의 가장 자리를 따라 크게 변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지난 10여 년 동안 남극 빙상의 질량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Mass change in the Antarctic Ice Sheet(AIS) i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of changes in Earth’s climate system including global mean sea level rise that are largely affected by ongoing global warming. In this study, AIS mass variations are examined with satellite gravity data and outputs from a regional climate model. The analysis of gravity data shows that along the coastal region the Western AIS has experienced a continuous and significant ice loss while a slight increasing in the Eastern AIS during the study period (2002.08-2016.08).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ice mass changes are recovered by a regional climate model, but the recovered amplitudes are much smaller than those of observations. This under-estimation is remarkably resolved by modifying a base flow field for the ice discharge. The recovered estimates based on the ice-flow field can explain about 97% of the rate of mass change in observations before 2009. This implies that changes in ice flow dynamics along the coast line plays a pivotal role in regulating long-term budget of ice mass in AIS.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 and Methods
3. Results
4. Discussion
5. Conclusions
Acknowledgment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