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산슬러지 펠렛을 이용한 폐석탄광 주변 토양 내 비소 안정화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Stabilization of Arsenic in Soil around the Abandoned Coal-Mine Using Mine Sludge Pellets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고명수(Myoung-Soo Ko) 지원현(Won-Hyun Ji) 김영광(Young-Gwang Kim) 박현성(Hyun-Sung Park2)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52권 1호, 29~3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폐석탄광 주변 토양을 대상으로 토양 내 비소 안정화를 위한 광산슬러지 펠렛의 적용성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안정화 효율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함태, 동원, 동해, 옥동탄광 주변 경작지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비소 농도를 확인한 결과 함태탄광을 제외한 나머지 폐석탄광 주변 토양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는 비소농도를 보였다. 광산슬러지 펠렛은 미강과 광산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하다. 분말형태의 광산슬러지에 비해 광산슬러지 펠렛은 운반과 안정화 시공과정에서 분진의 발생이 발생하지 않아 적용성이 높고 광산슬러지가 갖는 비소 안정화 효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럼실험을 통해 폐석탄광 주변 토양 내 비소 안정화에 광산슬러지 펠렛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기존의 토양 안정화제로 주로 사용한 석회석과 제강슬래그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 내 비소 안정화 효율 평가방법으로는 0.43 M HNO3또는 1 M NaH2PO4용액을 이용한 용출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acid mine drainage sludge (AMDS) pellets for the arsenic (As) stabilization and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for arsenic stabilization efficiency in soil around abandoned coal mines.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gricultural field around Ham-Tae, Dong-Won, Dong-Hae, and Ok-Dong coal mine. The As concentration in soil was exceeding the criteria of soil pollution level, except for Ham-Tae coal mine. The AMDS pellets are more appropriate to use by reducing dust occurrence during the transport and application process than AMDS powder. In addition, AMDS pellets were maintained the As stabilization efficiency. The application of AMDS pellets for the As stabilization in soil was assessed by column experiments. The AMDS pellets were more effective than limestone and steel slag, which used as the conventional additives for the stabilization process. The As extraction by 0.43 M HNO3 or 1 M NaH2PO4 solution were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for evaluation of As stabilization efficiency in the soil.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여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석재의 암석기재적 특성과 안구상편마암의 역사적 활용성 고찰
- 단층핵 구성물질의 함량과 전단강도 사이의 상관성 분석
- 자력선별과 토양세척법을 연계하여 금속폐기물과 TPH로 복합 오염된 토양 동시 정화
- 강원도 오십천 수계에 분포하는 백색침전물, 적갈색침전물 및 혼합침전물의 중금속 오염, 광물조성 및 분광학적 특성의 비교분석
- 광산슬러지 펠렛을 이용한 폐석탄광 주변 토양 내 비소 안정화 연구
- 조선누층군 장산층과 시대미상 금수산층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분포 특성 비교
- 절리텐서의 성분 및 일차불변량이 2-D DFN 시스템의 블록수리전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산소-탄소 안정동위원소 특성을 이용한 대기층 고품위 석회석의 생성기작 해석
- 공극 구조 내 교차 주입이 비혼성 유체의 포획 및 거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