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산화티탄 광촉매 졸(sol)의 실내환경 코팅에 의한 실내공기질 개선
이용수 10
- 영문명
-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Coatimg of Indoor Materials of TiO2 Photocatalyst Sol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양원호(Won Ho Yang) 김대원(Dae Won Kim) 정문호(Moon Ho Chung) 양진섭(Jin Sup Yang) 박기선(Ki S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0권 제2호, 92~9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ee methods for VOCs emissions control in indoor air are reduction at the source, ventilat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and removal. The best alternative should be to replace highly emitting sources with sources having low emissions, but the pertinent information on VOCs is not always available from manufactures. Other ways of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are needed. It is to increase the outside fresh-air flow to dilute the pollutants, but this method would generally provide only a dilution effect without destruction in residence. An ideal alternative to existing technologies would be a chemical oxidation process able to treat large volumes of slightly contaminated air at normal temperature without additional oxidant such as ozone generator and ion generator. Photocatalytic oxidation(PCO) represents such a process. It is characterized by a surface reaction assisted by light radiation inducing the formation of superoxide, hydroperoxide anions, or hydroxyl radicals, which are powerful oxidants. In comparison with other VOCs removal methods, PCO offers several advant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photocatalytic purification of slightly contaminated indoor air by using visible light such as flurescent visible light(FVL). In this study, a PCO of relatively concentrated benzene using common FVL lamps was investigated as batch type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 using a common FVL lamp and penetrated sun light over wind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n the possibility of TiO2 photocatalyst application in the area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봄철 미세분진이 북경시 아동 폐기능에 미치는 급성영향에 관한 연구
- Impact of Dissolved Wastewater Constituents on Laccase-Catalyzed Treatment of Bisphenol A
- 연속회분식 생물막 반응기(Sequencing Batch Biofilm Reator)를 이용한 수중의 유기물,질소 및 인의 동시제거에 관한 연구
- 연속반응실험에서 수소생성에 대한pH영향
- 비젼시스템을 이용한 토양미생물 관측장비 개발
- 이산화티탄 광촉매 졸(sol)의 실내환경 코팅에 의한 실내공기질 개선
- Nafion-DTPA-Glycerol 이 수식된 유리탄소전극을 사용한 미분펄스 전압전류법에 의한 구리(Ⅱ) 이온의 측정
- Bisphenol A와 butyl benzyl phthalate 동시투여가 임신랫드와 차산자에 미치는 영향
- 티오글리콜산의 랫드 피부에 대한 투과 영향
- 염색슬저지 연소재를 이용한 보도블록의 제작과 물성평가
- 일부 농촌지역의 오염원 현황과 먹는물 수질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 지하철 내 공기 중 먼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학교급식조리종사자의 식품위생안전성에 대한 지식,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제1보
- 초임계수에서 Cephradine의 산화반응속도
- 아산 및 서울 일부 지역의 대기 중 PM10의 농도 및 금속원소 성분의 특성 연구
- 수소이온농도(pH)가 성게의 초기 배발생에 미치는 영향
- Reaction Conditions for Laccase catalyzed Degradation of Bisphenol 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